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2017년 주택소유통계···무주택 가구 44%
등록일 : 2018.11.19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44%는 무주택자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상위 10%와 하위 10%의 집값은 32배 차이가 났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김유영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주택소유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천497만 3천 채.
전년보다 3.1%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구 1천967만 4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천100만 가구로, 주택소유율은 55.9%에 달했습니다.
이는 반대로 전체의 44.1%는 무주택자라는 뜻입니다.
시도별로 주택소유율이 낮은 지역은 서울, 대전, 세종이었고, 반대로 높은 지역은 울산, 경남, 경북 순이었습니다.
주택 소유율은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높았습니다.
30세 미만의 주택소유율은 11.1%였지만, 60세 이상은 67.3%를 보였습니다.
1인 가구는 28.5%로 가장 낮았고, 4인 가구 이상은 72.6%로 가장 높았습니다.
주택을 소유한 1천100만 가구 중 주택을 한 채만 소유한 가구는 798만 9천 가구로 72.6%, 두 채는 19.8%, 세 채 이상은 7.5%로 나타났습니다.
두 채 이상 소유자가 많은 곳은 제주, 세종, 충남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제주 서귀포시 순으로 다주택자가 많았습니다.
주택자산 가액 기준을 살펴보면, 지난해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은 8억 1천200만 원이었고, 하위 10%는 2천500만 원이었습니다.
상위 10%와 하위 10%의 차이는 32.48배로 전년 33.77배보다는 격차가 조금 좁혀졌습니다.
상위 10%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67호로, 하위 10%의 2.75배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2016년과 2017년 전체 가구 수가 1.6% 늘어난 가운데 주택 소유 가구 수가 2.4% 증가한 것은 주택 공급이 꾸준히 이어져 온 결과라며, 전년과 비교해 어느 정도 개선이 이뤄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김유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