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공익과 사익 사이 충돌금지 이해충돌방지법 [클릭K]
등록일 : 2021.04.16
미니플레이

박천영 앵커>
안녕하세요, SNS와 인터넷을 달군 뜨거운 이슈, 클릭 한 번으로 세상을 읽는 ‘클릭 K’입니다.
최근 LH 부동산 투기 사태가 발생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는 법안이 있죠,
바로 '이해충돌 방지법'인데요,
이 법이 있었더라면 'LH 사태'를 막을 수 있었을 거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오늘의 주제,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공익과 사익 사이 충돌금지 이해충돌방지법-

녹취> 문재인 대통령 (2021. 3. 15)
"이해충돌방지법의 신속한 제정에 힘을 모으면서 비정상적인 부동산 거래와 불법 투기를 감독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등 부정한 투기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도록 근본적 제도 개혁에 함께 나서 주시기 바랍니다."

이해충돌방지법, 말 그대로 공직자의 '직무'와 '이익'이 부딪히는 것을 막는 법입니다.
이해충돌방지법 내용을 살펴보면, 직무 중 알게 된 비밀 이용을 금지하고, 사적인 이해관계는 미리 신고해야 합니다.
특히, 재산상 이득과 관련해 수천만 원의 벌금과 별도로 부당이득을 전부 몰수하는 내용도 담겨 있는데요,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공직자 A는 특정 지역의 도시 개발계획을 미리 알고, 지인에게 사전 지식을 제공, 그 지역의 토지를 미리 구매하여 경제 이익을 얻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 경우, 공직자 A씨는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에 따라 직무상 비밀이용 금지규정 위반으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지역 도시계획의 감독자로서 자신의 배우자가 근무하는 회사의 도시계획안을 평가한 공직자 B씨는 어떨까요?
이 경우 또한 직무상 비밀이용 금지규정 위반 외의 이해충돌방지규정 위반으로, 위반행위 성격에 따라 1천만 원에서 3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차등적으로 부과됩니다.
이렇다 보니, 법안이 마련돼 있었다면 'LH 사태'를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뒤늦은 반성과 함께 법안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그런데 사실 이 법안은 2013년 처음 발의됐습니다.
제출된 법안에는 부정청탁을 금지하고 공직자의 이해충돌을 방지하는 내용이 포괄적으로 담겼습니다.
하지만 직무 관련성의 범위가 넓다, 국회의원의 의정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지난 2015년 청탁금지법, 이른바 김영란법이 통과될 때 이해충돌방지 규정은 입법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 후 9년이 지난 지금까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잠깐, 해외에서는 공직자들의 이해충돌 방지를 위해 어떤 제도를 시행하고 있을까요?
미국은 이미 50년 전, 공직자 뿐 아니라 배우자와 자녀 등 이해 관계인들까지 지위와 영향력을 이용해 사적 이익을 취할 경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프랑스의 경우에는 공직자가 취임할 때 사적 이해관계를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 징역형은 물론, 선거권도 박탈하는 등 엄격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 역사에도 관리들의 부패를 막기 위한 인사 제도가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상피제'인데요, 친족끼리 같은 관청에 근무를 시키지 않았고, 특별한 연고가 있는 지역에는 지방관으로 임명하지도 않았습니다.
자기도 모르게 저지를 수 있는 부정을 시스템으로 막자는 움직임은 이미 옛날부터 존재했던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청렴한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이해충돌방지법’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는데요, 국민권익위원회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 1700명 중 84.8%인 1428명이 이해충돌방지법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10년 가까이 잠들어 있던 이해충돌방지법. 이번에는 국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까요?
국회의 결정에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