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4차 산업혁명과 교육 [유용화의 오늘의 눈]
등록일 : 2019.08.08
미니플레이
유용화 앵커>
4차 산업혁명의 대비로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과연 어디일까요.
바로 교육입니다.
교육시스템에서 미래형 인간을 창출해내지 않으면 우리는 4차 산업혁명에 뒤처지는 국가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2016년 다보스 포럼의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 이었습니다.
당시 슈밥 의장은 "4차 산업혁명이 단순히 새로운 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대한 사회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문제라면서, 결국은 집단 지혜의 산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은 집단 지혜의 산물로서 사회 체제의 변화입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이 추구하는 사회를 '지능 정보사회'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결국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대비는 집단 지혜 창출과 함께, 지능 정보사회를 어떻게 만들어 나가느냐에 달려있다 할 것입니다.

새로운 사회 생태계가 요구됩니다.
그런데 그 새로운 생태계는 교육과 제도, 문화의 혁신을 통해서 만들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개발시키는 교육계의 역할이 주목될 수밖에 없습니다.
역으로 교육 제도에서의 혁신 시스템이 자리잡지 않으면 우리 사회가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엄중한 현실이기도 합니다.
미래 교육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을 길러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준비에 철저하지는 못했습니다.
2017년 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는 세계 11위의 경제 규모와는 전혀 걸맞지 않게 백 서른 아홉개국 중 25위였습니다.
또한 ICT 투자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입니다.
더욱이 2017년 7월 관계부처 진단에 따르면 지능화 기술의 산업적 활용을 보여주는 융합 접목 수준에서도 초기 단계로 나타났습니다.
2017년 한국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관련 미래 사회변화 대응이 미흡한 이유는 과도한 규제와 인프라 부족이 22.3%였으며, 전문 인력부족이 18.6%를 차지했습니다.

결국 전문인력과 인재를 대학 교육에서 어떻게 길러내느냐가 관건입니다.
교육부가 6일 대학혁신 지원안을 발표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대학 혁신 방안입니다.
재정 지원 규모를 늘리고, 규제를 완화하며 산학 협력과 함께 융합전공, 연구를 강화한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독일은 4차 산업혁명의 출발부처가 교육과학부였습니다.
2010년부터 시작된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교육과 연구분야를 포함한 사회 생태계 전체의 네트워킹 강화였습니다.
프랑스 역시 AI 중심의 교육 방안과 함께 인재 양성 추진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결국 혁신과 변화에 대응하는 인재 육성입니다.
그렇다면 국내 어느 대학이 이러한 미래형 인재양성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을까요.
과감한 재정 지원과 함께, 규제 완화 및 대학의 자율성, 그리고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는 환경이 우선시 돼야 할 것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