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부총리 취임1주년
등록일 : 2006.03.14
미니플레이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3월 15일로 취임 1주년을 맞습니다.
한미 FTA 협상 추진, 교육 의료 법률 등 서비스업 개방, 해외투자 활성화 등은 한덕수 부총리가 없었다면 쉽게 추진될 수 없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주년을 맞는 한덕수 경제부총리, 무엇보다도 한덕수 부총리는 경기부양책을 동원하지 않고 경기회복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작년 3월 취임한 뒤 거시지표는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은 작년 1.4분기 2.7%에서 2.4분기 3.3%, 3.4분기 4.5%, 4.4분기에는 5.2%로 높아졌습니다.
민간소비는 2003년 2.4분기이후 6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작년 1.4분기 이후에 회복세가 가속화됐습니다.
이는 한동안 수출에만 의존해온 우리 경제의 성장이 내수의 회복으로 균형을 되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또 코스피지수도 취임당시 월평균 988선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1천379를 기록했고 최근 들어서도 여전히 1천300선을 지키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는 취임 이후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에 치중하면서 8.31대책을 통해 부동산 시장과 서민 주거 안정을 추진했고 사회서비스업 개방 계획 등으로 성장잠재력 확충을 꾀했습니다.
자본시장통합법 추진, 제로베이스 금융규제 개혁 등 경제 시스템 선진화에도 나섰고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 한미 FTA 시작 등 세계경제와의 소통 확대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당면한 과제들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미 FTA의 공식협상은 농업문제 등으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고, 부동산시장 안정 역시 시급한 과제 중에 하나입니다.
사회안전망 확충과 저출산.고령화 대책에 필요한 재원 마련도 넘어야 할 산입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취임한지 1주년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개방과 경쟁의 정착을 통해서 한국경제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한미 FTA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양극화 해소 등 당면한 현안등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한미 FTA 협상 추진, 교육 의료 법률 등 서비스업 개방, 해외투자 활성화 등은 한덕수 부총리가 없었다면 쉽게 추진될 수 없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주년을 맞는 한덕수 경제부총리, 무엇보다도 한덕수 부총리는 경기부양책을 동원하지 않고 경기회복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작년 3월 취임한 뒤 거시지표는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은 작년 1.4분기 2.7%에서 2.4분기 3.3%, 3.4분기 4.5%, 4.4분기에는 5.2%로 높아졌습니다.
민간소비는 2003년 2.4분기이후 6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작년 1.4분기 이후에 회복세가 가속화됐습니다.
이는 한동안 수출에만 의존해온 우리 경제의 성장이 내수의 회복으로 균형을 되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또 코스피지수도 취임당시 월평균 988선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1천379를 기록했고 최근 들어서도 여전히 1천300선을 지키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는 취임 이후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에 치중하면서 8.31대책을 통해 부동산 시장과 서민 주거 안정을 추진했고 사회서비스업 개방 계획 등으로 성장잠재력 확충을 꾀했습니다.
자본시장통합법 추진, 제로베이스 금융규제 개혁 등 경제 시스템 선진화에도 나섰고 해외투자 활성화 방안, 한미 FTA 시작 등 세계경제와의 소통 확대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당면한 과제들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미 FTA의 공식협상은 농업문제 등으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고, 부동산시장 안정 역시 시급한 과제 중에 하나입니다.
사회안전망 확충과 저출산.고령화 대책에 필요한 재원 마련도 넘어야 할 산입니다.
한덕수 부총리가 취임한지 1주년을 맞았습니다.
그동안 개방과 경쟁의 정착을 통해서 한국경제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한미 FTA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양극화 해소 등 당면한 현안등에 대해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50회) 클립영상
- 국무회의 주요내용 47:22
- 노무현 대통령 이해찬 총리 사의 수용 47:22
- 보건복지부 긴급복지제도 47:22
- 토지이용의무 위반시 강제금 부과 47:22
- 노무현 대통령자원외교 성과 산업자원부 브리핑 47:22
- 한덕수 부총리 취임1주년 47:22
- 국방부 야전지휘관 간담회 47:22
- 손해보험사, 내달 車보험료 4~6% 인상 47:22
- 한국, 3년후 中수입시장 1위 부상 전망 47:22
- 미국산 쇠고기 수입 일정 연기 47:22
- 충분한 사전 준비없이 성급한 시작 아닌가 47:22
- 美 비자 거부율 3% 미만으로 낮춰야 47:22
- 기초단체장 선거비용제한액 평균 1억4천만원 47:22
- 대기업 54% “올해 해외인재 채용 계획 있다” 47:22
- 올해 국제유가 전망 55~60달러로 상향 47:22
- 땅 투기 차단, 토파라치제 도입 47:22
- 공영형 혁신학교 내년 시범도입 47:22
- 2008 수능·학생부 변별력 높다 47:22
- 교육업무 시스템 개통 47:22
- 작년 독도 방문객 13배로 늘어 47:22
- 적립식 펀드 주식과다편입 등 점검 47:22
- 자동차 정기점검 유효기관 2년으로 확대 47:22
- 소방방재청, 지진해일 피해예방 47:22
-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 브리핑 47:22
- 최창현 해양수산부 차관보 브리핑 47:22
-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브리핑 4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