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를 극복 과정에서 안정적인 자금순환에 역점을 뒀던 정부가 내년부턴 무분별한 대출을 억제해 가기로 했습니다.
은행권도 대출억제에 따른 대비책 마련이 본격화 될 전망입니다.
지난 9월말 현재 은행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532조 7천억원.
이가운데 대기업대출은 87조원, 중소기업 대출은 445조 7천억원에 이릅니다.
하지만 지난 3분기 이후 대기업대출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은행장들은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올해 대기업대출이 크게 위축된 현상을 보였지만, 금융위기 이후 경기회복세가 이어짐에 따라 내년엔 설비투자가 늘면서 기업대출도 크게 늘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융시장의 이같은 변화를 고려해 정부는 내년부터 대출 억제용으로 은행의 예금 대비 대출 비율을 은행 경영 관리 기준으로 하는 예대율 카드를 다시 꺼내기로 했습니다.
대출에 의존해 은행의 외형 키우기 경쟁을 지속할 경우 금융시장의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입니다.
따라서, 은행장들은 내년부터 재도입되는 예대율 규제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은행의 건전성감독 강화방안이 활발하게 논의 되고 있는 만큼 향후 은행경영여건에 상당한 변화를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KTV 이충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144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국제적 관심" 1:41
- 이 대통령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 내년 설립" 1:51
- 온실가스 감축, 정부·기업 손잡았다 1:54
- 정 총리 "온실가스 감축 우리부터 실천" 1:36
- "세종시, 과학벨트에 가장 적합한 후보지" 0:22
- 정부, 치료제 50만명분 대북지원 1:40
- 공적개발원조 22.6% 증액 1:46
- 상반기 중 재정의 60% 조기집행 1:10
- 내년 기업대출 억제, 은행경영여건 변화 1:36
- "농협 개혁, 이번에는 꼭 성공할 것" 1:55
- 따뜻한 외교로 아시아 리더국 부상 5:09
- 한국 MICE 육성협의회 공식 출범 2:28
- 강력한 한파 전국이 '꽁꽁' 주말까지 이어져 1:18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51
- EU 환경규제, 이렇게 대응한다 [현장포커스] 9:57
- 말 탄 사람 토기 [한국의 유물] 1:52
- 따뜻한 원조로 거듭나는 대한민국 [G20 글로벌 코리아-국격을 높여라] 21:42
- 홀로 세 아이 키우는 씩씩한 엄마 장애경 [릴레이 희망인터뷰] 3:52
- 소통과 공감-주간 대통령 연설 12:16
- 프랜차이즈 활성화 4:32
- 마을의 안녕을 빌었던 술 - 경북 고령 스무주 [대동문화도] 7:46
- 오늘의 정책(전체) 19:34
- 따뜻한 겨울 나고 지구도 살리고 3:05
- 국내 첫 쇄빙선 '아라온호' 출항 2:11
- 영등위, 올해의 좋은 영상물 3편 시상 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