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순서는 생활과 문화를 심리로 읽어보는 <문화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재미있는 심리 이야기를 해주실 이철우 박사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안녕하십니까!
Q1> 거짓말이라는 게 물론 해서는 안 되는 거지만, 때로 필요할 때도 있어요.
예를 들어서 시험에 실패하고 고민하는 조카가 “나는 머리가 나쁜가봐. 아무리 해도 안 되네.”하고 있을 때는 거짓말이라도 “그게 무슨 말이야, 네 머리 좋은 것은 세상이 다 아는데”라고 한 마디 하는 편이 서로를 위해서 백배 나은 것처럼 말이죠.
그런데 이런 거짓말이 가끔은 들통이 날때가있어요.
특히 남성들이 거짓말을 잘 들킨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신다고요?
A1> 네, 참말만 하면서 살 수 있다면 그것보다 좋은 일은 없겠지만 살아가다보면 거짓말을 해야만 할 때가 적지 않죠.
관계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거짓말이 필요한 경우가 얼마든지 있기 때문인데요. 사실 참말을 하거나 진실을 털어놓는 것이 상황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거짓말을 조금씩은 하게 되는데요, 남녀관계에서도 거짓말은 빼놓을 수 없죠.
부부 사이나 연인 사이에서도 얼마든지 거짓말이 있을 수 있는데요. 이렇게 남녀 사이에서 거짓말을 할 때, 특히 남자의 거짓말이 잘 들통나는 이유를 오늘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Q2> 남녀 사이에 있어서 특히 다른 이성과 관련된 부분은 그 이성과 특별한 관계이든 아니든, 그것을 깔끔하게 털어놓기 보다는 대충 얼버무린다든지 거짓말을 하는 편이 훨씬 도움이 될 때가 많기도 해요.
불필요한 오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남녀 사이에 거짓말은 잘 들통이 나게 되고, 그로 인해서 더 사이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고요?
A2> 네, 문제는 부부나 연인 사이의 거짓말은 들통 나기 쉽다는 점이고요. 특히 남성의 거짓말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발각이 나게 됩니다.
웬만큼 무디지 않은 여성이라면 남성의 거짓말을 쉽게 알아차리고 대뜸 추궁에 나서기 마련인데요, 여성은 왜 남성의 거짓말을 쉽게 알아차릴까요?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아무래도 1.여성이 남성보다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많아서 작은 변화를 놓치지 않는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유심히 보다 보니 상대의 조금이라도 이상한 행동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죠.
또한 2. 여성이 남성보다 직관이 발달되어있다는 것도 이유로 들 수 있을 것 같네요.
Q3>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이유가 바로 세 번째 이유라고요?
A3> 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3.남성의 시선행동인데요. 사실 남성의 거짓말이 쉽게 발각 나는 것은 여성이 남성의 거짓말을 바로 알아차린다기보다는 오히려 남성 스스로가 ‘지금 내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라고 스스로 광고를 하기 때문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삽화에서 보다시피 얼굴을 마주하지 못하고 시선을 회피하는 행동을 남자들은 뚜렷히 보이거든요.
Q4> 말을 할 때 보여지는 시선의 움직임을 시선 행동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 시선 행동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죠.
A4> 네, 시선을 나눈다든지, 서로 직시한다든지, 시선을 피하는 식의 시선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을 사회심리학에서는 시선행동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대화를 하면서 의외로 상대방의 눈을 쳐다보지 않는데요. 보통 사람들이 대화를 하면서 상대방에 눈을 주는 시간은 전체의 61% 정도입니다. 상대방에 시선을 주더라도 그 사람의 눈을 쳐다보는 시간은 대단히 짧은데요. 서로의 시선이 마주치는 아이컨택트(Eye Contact)는 61% 가운데 30% 정도에 지나지 않고요. 전체 대화시간으로 보면 18.3% 정도에 머무를 뿐입니다. 게다가 상대를 한번 쳐다보는 시간은 3초인데 비하여 아이컨택트의 시간은 1초 정도로 대단히 짧은 편이죠.
Q5> 그렇다면, 남자들은 거짓말을 할 때 어떤 시선 행동을 하기에 잘 들키는 건가요?
A5> 네, 남성은 보통 대화를 들을 때 상대방을 주로 쳐다보고 여성의 경우는 자신이 말을 할 때 상대를 쳐다봅니다다. 남성이 아이컨택트를 시도하는 것은 아무래도 자신이 이야기를 들을 때가 많다는 이야기인데요. 자기가 말을 할 때는 아이컨택트를 별로 시도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거짓말을 할 때 문제가 되는데요. 평소 가뜩이나 적은 아이컨택트가 거짓말을 할 때는 두드러지게 적어지는 것이죠.
남성들은 거짓말을 할 때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거짓말을 할 때는 눈을 잘 맞추지 않는다는 고정관념 때문인데요.
물론 이 고정관념이 완전히 잘못된 것만은 아니죠. 대개의 남성들에게는 어느 정도 어느 정도 들어맞기 때문입니다. 남성들은 이러한 고정관념 때문에 상대의 눈을 빤히 쳐다보면서 거짓말을 한다는 것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거부감이 있거든요. 그리고 이런 거부감이 거짓말을 할 때 아이컨택트의 횟수와 시간을 대폭 줄이게 됩니다.
결국 아무리 감추려 해도 어색한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고요. 이렇다보니 남성이 거짓말을 할 때 여성이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느끼지 않는다면 그것이 오히려 더 이상하게 되는 거죠.
Q6> 남성들은 그런 시선 행동을 보이는데, 여성들은 어떤 특징을 보이나요?
상대적으로 남자들은 여자의 거짓말을 잘 알아차리지 못한다고요?
A6> 네, 남성은 여성의 거짓말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여성은 자기가 말을 할 때 상대방의 눈을 직시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거짓말을 할 때도 다를 바가 없습니다. 상대 남성의 눈을 응시하면서 거짓말을 합니다. 그렇게 되면 ‘혹시 상대가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고 이야기를 하던 남성일지라도 대화가 진행되어 가면 음을 바꿀 수밖에 없죠. 저렇게 눈을 빤히 쳐다보면서 이야기하는 것을 보니 거짓말일 리가 없다고 지레짐작을 해버리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상대방의 제스처나 표정에서 마음을 읽는 해독능력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떨어지거든요. 이러다보니 상대 여성의 거짓말을 알아차리기 힘들게 되는 거죠.
Q7> 하지만, 모든 남성들이 눈을 못 마주치는 시선 행동을 하는 건 아닌 거 같아요.
아무래도 개인 차이가 있겠죠?
A7> 수단이 목적을 정당화한다고 믿기 때문에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권모술수에 강한 마키아벨리 성격의 남성들은 상대의 눈을 직시하면서 태연하게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
Q8> 오늘 이야기를 들은 남성분들은 앞으로 여자분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면서 거짓말을 할 거 같은데요.
A8> 결국 남성의 경우에는 부인이나 애인에게 여간 자신이 없다면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이 베스트라는 이야기가 되는데요. 하지만 살다보면 선의의 거짓말이 반드시 필요할 때가 올지도 모르죠.
그럴 때는 반드시 상대의 눈을 응시하면서 거짓말을 하면, 안 걸릴 것이라고 장담은 못하겠지만 걸릴 확률을 훨씬 낮추어 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거짓말은 되도록 안 하면 좋겠지만, 꼭 필요한 순간에는 선의의 거짓말을 안 들키고! 잘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도 유익한 심리이야기를 해주신 철우 박사님 감사합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372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변화 앞에 장애 탓할 수만은 없다" 2:20
- 김윤옥 여사, 한식 세계화 교육 0:34
- 재외공관, 수출기업 도우미로 나서 2:21
- 한은, 기준금리 2%…1년째 동결 0:53
- 한·EU FTA 4월 정식 서명, 연내 발효 1:34
- 이 대통령 "국민에게 믿음 주는 해병대 돼 달라" 2:42
- 이 대통령, 압바스 팔레스타인 수반 면담 0:35
- 아이티 재건지원단 선발대 출국 1:44
- 서울 등 전국에 눈·비···강원 대설경보 2:06
- 숭례문 복구작업 첫 삽…누각해체 시작 2:14
- 주유소 주유기 오차범위 대폭 축소 1:43
- 설 연휴 의료기관 비상진료체제 가동 1:21
- 미래 먹을거리·일자리 창출의 핵심 [정책&이슈] 22:27
- 미·중 간 통상마찰···활율전쟁으로 이어지나? [오늘의 경제동향] 16:38
- 말 탄 사람 토기 [한국의 유물] 3:08
- 오래된 집들의 이야기 2. 전통을 지켜내다 - 논산 [대동문화도] 8:53
- 거짓말이 들통 나는 이유 [문화읽기] 9:44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