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KTV 뉴스 (17시)일요일 17시 00분
맞춤형 학습 '수학탐험대'···내일부터 전 학교에 도입
등록일 : 2020.09.13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정부가 학교 교육활동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첫 사례죠.
그동안 시범 운영해왔던 똑똑 수학탐험대가 내일(14일)부터 전국 모든 학교에 제공됩니다.
게임을 하면서 수학 문제를 풀면 그 결과에 따라 학생 개개인에 맞는 처방이 내려집니다.
박천영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기반으로 설계된 '똑똑 수학탐험대'입니다.
게임을 통해 수학을 즐겁게 배울 수 있고,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그림을 활용해 단계적으로 문제를 제시합니다.
학생들도 색다른 학습 방법에 흥미를 보입니다.

“이걸로 하면 진짜 재미있어요?”
“네!”
“솔직하게 말해줘도 되는데 진짜 재미있어요?”
“네!”

수학탐험대는 학교 교육활동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첫 사례입니다.
학생들이 학습하면 그 결과를 분석·예측하고,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각기 다르게 추천합니다.
학생에 따라 학습 조언이 이뤄지다 보니 수업은 더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녹취> 황미영 / 대구 왕선초등학교 교사
“어떤 학생은 30문제를 줘도 5분 만에 풀고 어떤 학생은 30분이 걸려요. 근데 이렇게 하면 자기가 오늘 배운 교과 활동을 다 하고 나면 추천활동에서 풀 수 있는 만큼 풀 수 있으니까 시간이 남는 학생이 없어요. 심심한 아이들이 없어서....”

지난 3월부터 서울과 대구, 경기, 충남 등 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현장 적합성을 높인 수학탐험대가 내일(14일)부터 전국 모든 학교에 제공됩니다.
시스템은 학교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저학년 단계부터 발생할 수 있는 학습 결손에 따른 교육 격차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이하늬 / 교육부 교육연구사
“수업 시간에는 교구를 사용해서 교사들이 수업을 할 수도 있고, 아이들의 학습 결과 같은 것을 누적 관리해서 교사들에게 정보 제공도 해주고, (중략) 선생님이 아이들의 수준을 판단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을 해줄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교육부는 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는 인공지능 기초와 인공지능 수학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개정합니다.
관련 내용을 담은 개정안은 확정 고시돼 내년 2학기부터 본격 적용됩니다.
(영상제공: 교육부 / 영상편집: 박민호)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학생들이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박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