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지난해 출생아 25만 명 아래로···내년부터 신생아 특공
등록일 : 2023.08.31 09:02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25만 명 아래로 내려가고, 합계 출산율도 0.78명을 기록하면서 다시금 역대 최저를 경신했습니다.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신생아 출산 가구에 대한 주택 특별공급을 포함한 대책을 담았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통계청의 2022년 출생 통계를 보면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합계 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입니다.
출생아 수도 24만9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1천 명 줄었고, 1970년 이후 최저입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1명 아래를 기록 중입니다.
이 가운데 부모의 혼인 이외 상태로 태어난 아기들은 9천8백 명으로 전체 출생아 중 3.9%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혼인 신고 없이 동거 중에 태어난 아이들이 많아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신생아 출생 가구를 위한 대책을 담았습니다.

녹취> 김동일 / 기재부 예산실장
"신생아 출생 가구에 대해서 주택 구입, 전세자금 융자 그리고 주택 우선 공급 3종 세트를, 3종 특례를 만들어서 지원하겠습니다. 신생아 출산 가구에 대해서는 디딤돌·버팀목 대출 소득요건을 대폭 완화하겠습니다."

출산 가구를 대상으로 한 특별공급은 매년 7만 가구로, 공공주택의 경우 미혼 가정에도 아이를 낳으면 특공 자격이 부여됩니다.
여기에 신생아 특례 대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 5억 원까지 받을 수 있고, 소득에 따라 최저 1.6%로 가능합니다.
구입 주택 가격 기준도 기존 6억 원에서 9억 원 이하로 늘어납니다.
이같은 신생아 특례대출은 내년 1월쯤 출시됩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 영상편집: 박설아 / 영상그래픽: 김지영)
정부는 이와 함께 육아 휴직 기간을 1년 6개월로 연장하고, 부모급여 지급액도 0세의 경우 1백만 원 1세는 5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