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우즈베키스탄 국빈방문 공식환영식
등록일 : 2024.06.14 14:35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마지막 국가로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했습니다.
잠시 후 공식 환영식이 열리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이번 국빈방문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즈베키스탄 국빈방문 공식환영식
(장소: 쿡사로이 대통령궁)

신국진 기자, 윤 대통령의 3개국 순방이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먼저, 우즈베키스탄에 대해 소개해주시죠.

신국진 기자>
우즈베키스탄은 실크로드의 중심국가입니다.
1991년 구소련 붕괴와 함께 독립국이 된 이후 강력한 중앙 집권적 계획 경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앙아시아 최대 인구 보유국으로 약 3천600만 명에 이릅니다.
인구 증가율도 2%대로 매년 100만 명 가까이 태어나고, 평균 연령이 29.1세로 젊고, 발전 가능성이 큰 매력적인 시장입니다.

최대환 앵커>
저출산, 고령화로 심각한 사회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른 환경이군요.
윤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방문 전 우리나라와의 인연을 강조했죠.

신국진 기자>
네, 윤석열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에 대해 중앙아시아 핵심 협력 국가이자 형제 국가라고 강조했는데요.
이는 우리나라와 우즈베키스탄의 남다른 인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옛 소련 지역 전체에서 우즈베키스탄에는 가장 많은 17만 명의 고려인이 살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들은 사회 요소요소에 깊숙이 자리 잡으며 우리나라의 든든한 인적 그물망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류가 확산 돼 우즈베키스탄 내 한국의 이미지가 한층 더 좋아지고 있는데요.
윤 대통령은 이런 이유를 들어 우즈베키스탄을 형제 국가로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환 앵커>
우즈베키스탄 하면 지리적 역할과 풍부한 천연자원을 빼놓을 수가 없죠.

신국진 기자>
네, 윤석열 대통령도 우즈베키스탄 국영 통신사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도 이 점을 강조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는데요.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하나의 무역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가치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데요.
우라늄, 금, 아연 등 다양한 광물자원이 매장돼 있고, 텅스텐 등 희소 금속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대환 앵커>
앞서 고려인에 대해 이야기하며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를 이야기했는데요.
우리나라와 우즈베키스탄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언제 이뤄졌나요.

신국진 기자>
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공식 인연은 지난 2005년 5월 시작됐습니다.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해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후 2009년 5월 10일 이명박 전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해 두 번째 공동성명을 발표했는데요.
양국 정상은 한-우즈벡 관계를 한 단계 격상시킨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선언을 채택했습니다.
이후 양국은 공동 발전과 번영을 위해 양국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로 한 단계 더 격상했고, 양국 간 정치적 신뢰와 호혜적 협력 관계를 지속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윤 대통령이 형제 국가라고 이야기 할 만큼 그동안 양국의 관계가 지속 발전해 왔는데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상당한 의미를 갖죠?

신국진 기자>
네, 우즈베키스탄은 우리나라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국가입니다.
이런 관계를 맺은 나라는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해 인도,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까지 4개 국가뿐인데요.
우즈베키스탄에 고려인이 거주한 것을 이유로 그동안 긴밀히 협력해 온 동반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를 기반으로 양국 관계를 내실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환 앵커>
양국관계의 내실화가 기대되는데요.
어떤 분야를 중점적으로 협력한다고 예상할 수 있나요.

신국진 기자>
네, 윤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의 협력 분야로 에너지와 인프라, 핵심광물을 꼽았습니다.
이외에도 공급망, 보건·의료, 과학기술, 기후변화 등을 주요 협력으로 선택했는데요.
윤 대통령은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협력과 인적 교류를 강화하겠다고도 이미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첨단 과학기술 허브를 함께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윤 대통령은 또 이번 국빈방문을 계기로 인류의 찬란한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 21세기 첨단 과학기술 실크로드를 함께 만들어 나가길 희망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우즈베키스탄에 도착했는데요.
이미 주요 일정을 소화하고 있죠.

신국진 기자>
네, 윤 대통령은 어제 카자흐스탄을 떠나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 도착했습니다.
도착과 동시에 김건희 여사와 함께 독립 기념비에 헌화했습니다.
이후 동포 만찬 간담회에 참석에 만찬을 하고, 우리 정부의 지원으로 지난해 개소한 우즈베키스탄 창업촉진센터를 방문했습니다.
센터에서는 우즈벡 청년들을 만나 양국 혁신 미래 세대와 대화의 시간을 가졌는데요.
윤 대통령은 "한국에 와서 공부하거나 사업을 하면 우리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밝히고, 한국으로 많이 와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잠시 뒤 공식 환영식이 진행됩니다.
오늘 공식 환영식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신국진 기자>
네, 오늘 공식 환영식은 우즈베키스탄 영빈관에서 진행되는데요.
윤석열 대통령에 앞서 지난달 27일 우즈베키스탄을 국빈방문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일정을 보면 대략적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국빈 방문 시 공식 환영식은 대부분 의장대 사열로 시작하는데요.
윤 대통령이 영빈관에 도착하면 우즈베키스탄의 의장대 사열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의장대 사열 후에는 양국 국가 연주와 환영 인사가 진행되는데요.
환영인사는 양국 정상이 양국의 국무위원을 소개하며 마무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환 >
공식 환영식 후 윤석열 대통령의 공식 일정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신국진 기자>
네, 윤 대통령은 잠시 뒤 영빈관에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합니다.
회담에서는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이 핵심 의제로 논의될 예정입니다.
회담 후에는 양국 협정과 양해각서 서명식을 진행하고, 공동 언론발표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이어 한-우즈베키스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요.
저녁에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부부가 주최하는 국빈 만찬에 참석할 것으로 예정돼 있습니다.

최대환 앵커>
우즈베키스탄 일정이 끝나면 5박 7일간의 중앙아시아 순방 일정이 마무리됩니다.
이번 순방의 성과에 대해 다시 한 번 정리해 주시죠.

신국진 기자>
네, 우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첨단 과학기술과, 광물 자원의 구체적인 협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앞서 방문한 카자흐스탄에서는 양해각서 외에 다른 약정, 합의문 등 총 37건이 체결됐는데요.
경제협력의 제도화와 핵심광물 공급망 파트너십 구축을 성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기업의 에너지 인프라 수주지원이나 자동차 관련 우수 현지인력 확보 협력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르크메니스탄과는 8건의 양해각서 등이 체결됐는데요.
가스전 등 60억 달러를 수주했고, 에너지와 교역 등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우즈베키스탄 국가에 대해서 더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인구가 3천만이 넘는데요.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있는 것도 특징이죠.

신국진 기자>
네, 우즈베키스탄은 다민족 국가입니다.
우즈벡인이 84%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고요.
이어 러시아인, 고려인, 기타 민족이 어우러져 지내고 있습니다.
종교는 이슬람교 수니파가 대부분이고요.
시아파와 그리스 정교가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유럽 주요국가와 러시아 사이에서 실리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