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윤 대통령 중앙아시아 국빈방문 결산···순방 성과는?
등록일 : 2024.06.17 19:55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지난 주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방문이 있었는데요.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관련 소식 살펴봅니다.
김현아 앵커!

김현아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방문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순방에 동행했던 최영은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최영은 기자, 나와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잘 다녀오셨나요?

최영은 / 대통령실 출입 기자>
네, 안녕하세요.

김현아 앵커>
최기자, 5박 6일 간 대통령 순방을 동행하고 돌아왔는데요.
일주일 전, 순방 첫날로 돌아가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으로서 극진한 환대를 받았다는데, 직접 가보니, 현장 분위기가 어땠나요.

최영은 기자>
'국빈 방문'하면 의례 떠오르는 장면들이 있으실 겁니다.
화려한 공식환영식과 우리 정상의 기호를 반영한 만찬과 같은 건데요.
이번에는 예상을 뛰어넘는 장면들이 더 많이 연출됐습니다.
순방 도착 첫날, 투르크메니스탄 공항에 내려서 프레스센터가 마련된 시내까지 돌아오는 내내 윤석열 대통령 얼굴이 걸린 전광판이 저희 취재진들 눈에 띄었고요.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시내 전체 80여 개의 전광판이 모두 윤 대통령을 환영하는 메시지였습니다.
그야말로 국가 전체가 이번 국빈방문을 환영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현지 언론에서도 윤 대통령의 방문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신문 1면에 윤 대통령의 사진이 크게 걸리기도 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공식환영식이 열린 대통령궁에서 우리 대통령이 입장하자, 애국가가 울려퍼지는 장면도 상당히 인상깊었습니다.
함께 잠시 보시겠습니다.

김현아 앵커>
기억에 남는 기사가 있는데, 투르크메니스탄 최고지도자가 윤 대통령 부부에게 강아지를 선물했다면서요.

최영은 기자>
그렇습니다.
선물 받은 개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견, 알라바이입니다.
아무래도 윤 대통령의 각별한 애견 사랑이 투르크메니스탄까지 소문이 난 모양인데요.
검역 절차를 마친 알라바이 두마리는 내일, 우리 대통령실이 위치한 용산에 도착합니다.
이후 현재 10마리 이상의 반려견과 반려묘가 살고있는 대통령의 관저에서 함께 생활하게 될 예정인데요.
알라바이가 대통령 관저에서 성장해 가는 모습도 계속 지켜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투르크의 국견 알라바이는 양치기 개로 알려져있는데 성견이 되면 키가 2m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해외 반출이 엄격하게 통제되어 있는, 그야말로 국가를 상징하는 동물인데, 투르크의 지도자가 우리 정상에게 최고의 성의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최고지도자는 윤 대통령이 카자흐스탄으로 떠나는 날, 이례적으로 공항 환송까지 나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날 날씨가 정말 더웠거든요.
'덥다'라는 느낌을 넘어서, 정말 뜨겁다! 할 정도였는데, 고령의 최고지도자 부부가 우리 대통령의 전용기가 이륙할 때까지 계속해서 손을 흔들어주던 모습이 기억에 남습니다.

김현아 앵커>
네, 그렇군요.
각 정상과 함께한 만찬과 오찬도 인상적이었다고 들었는데요.
카자흐스탄에서는 국빈 만찬을 공식적으로 하고 나서 예정에 없었던 국빈 오찬 자리를 한 번 더 마련해서 귀한 음식인 철갑상어 요리까지 대접했다면서요.

최영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사전에 대통령이 좋아하는 노래도 조사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만찬장에 윤 대통령이 좋아하는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가 연주됐고요.
현지 오케스트라반주로 돌아와요 부산항에, 만남과 같은 우리 가요가 흘러나오기도 했습니다.
각국이 윤 대통령 맞춤형으로 꼼꼼하게 손님맞이 준비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아 앵커>
네, 이렇게 극진한 환대를 받은 윤 대통령이 이번 순방을 통해 거둔 성과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번 순방의 경제 성과도 짚어주시죠.

최영은 기자>
네, 중앙아시아 지역은 잘 알려진 대로 광물자원이 풍부한 국가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와 핵심광물, 인프라 분야에서 협력 할거리가 많은데요.
먼저 투르크에서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체결된 양해각서로 현대엔지니어링 등 우리 기업들이 플랜트 사업을 수주하는 발판이 마련됐습니다.
약 60억 달러 규모로, 대형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요.
또 주목 받았던 것 가운데 하나는 우리 고속철도 KTX가 이번 순방 계기 최초로 수출된 성과입니다.
우즈베키스탄에 고속철 42량이 수출된 건데, 모두 2천700억 원 규모입니다.
올해가 KTX가 개통 20주년인데 이 수출을 시작으로 앞으로 많은 나라에 수출이 계속 이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카자흐스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체결된 양해각서에는 한국 기업이 카자흐스탄의 핵심광물 개발에 우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우리 대통령이 1호 영업사원으로서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힘쓴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김현아 앵커>
네, 그렇군요.
이와 함께 처음으로 발표된 우리 정부의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 전략인 K-실크로드에 대한 공감대도 마련됐다고 하죠?

최영은 기자>
그렇습니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미래지향적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K-실크로드에 대한 구상을 각 대통령에게 자세히 설명했고요.
이에 대해 각국 정상이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또 이를 토대로 내년에는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 5개국가의 정상회의도 예정 돼있습니다.

김현아 앵커>
네, 이렇게 중앙아시아 국빈방문의 다양한 성과까지 짚어봤는데요.
최 기자, 그런데 이번 순방 기간에 윤 대통령을 가까이서 만나보신 적이 있으셨다면서요.

최영은 기자>
그렇습니다.
순방 취재를 가면 대통령 일정에 풀 취재를 갈 때 주로 대통령을 마주하게 되는데요.
이번에는 윤 대통령이 기자단을 찾아왔습니다.
지금 사진을 함께 보실 텐데요.
윤 대통령이 기내에서 기자단을 찾아와 일일이 악수하며 인사를 건넨 모습입니다.
이때 특히 한 기자에게 안부를 묻는 모습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바로 임신한 기자였는데요.
윤 대통령이 해당 기자에게 건강하게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지 궁금했다면서 출장 중에 건강 관리를 잘하기 바란다고 격려했습니다.
이 기자는 앞서 용산에서 이뤄진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저출생수석 신설이 실효성 있는 저출생 대책으로 이어져 배 속의 아기에게 동생을 만들어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요.
윤 대통령이 이를 기억하고 안부를 물어본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대통령이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소통하는 자리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현아 앵커>
네, 이렇게 특별한 에피소드까지 들어본 시간이었습니다.
5박 6일 간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동행 취재를 마치고 돌아온 최영은 기자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