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격차 해소·청년 성장 지원" 2025년 교육부 업무계획
등록일 : 2025.02.11 12:0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교육부 2025년 업무계획 주요 내용, 세 번째 시간입니다.
교육부는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성장과 미래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김현지 앵커>
교육발전특구, 글로컬 대학, 국가장학금 확대 등 지역과 청년을 위한 다양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교육부 김영곤 차관보과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김영곤 / 교육부 차관보)
김용민 앵커>
교육발전특구는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의 핵심으로 꼽히는데요.
교육발전특구란 어떤 정책이고,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교육발전특구로 선정된 지역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을 운영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교육발전특구 선정 지역에 대한 교육부의 지원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한 글로컬 대학, 지금까지의 성과는 어떠하며, 올해 추가 지정 방향은 어떻게 계획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추진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AID 선도대학'을 지정하여 성인에게 맞춤형 AI 디지털 교육으로 미래대응 역량 제고에 도움을 주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요.
어떻게 운영할 계획이신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직업교육 혁신을 위해서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시는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2025년에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가장학금이 대폭 확대될 예정인데요.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올해 업무보고에 대학과 기업의 인재 파이프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 있던데요.
인재 파이프라인 정책은 어떤 것인가요?
김현지 앵커>
대학연구소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학연구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학생들에게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전공 자율 선택제'가 추진되고 있는데요.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총 3회에 걸쳐 2025년 교육부 업무계획을 살펴봤습니다.
사교육·입시부담 완화, 맞춤형 지원 강화, 지역격차 해소와 청년 성장 지원까지 다양한 정책을 교육부 김영곤 차관보와 함께 전해드렸는데요.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교육부 2025년 업무계획 주요 내용, 세 번째 시간입니다.
교육부는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성장과 미래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김현지 앵커>
교육발전특구, 글로컬 대학, 국가장학금 확대 등 지역과 청년을 위한 다양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 교육부 김영곤 차관보과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김영곤 / 교육부 차관보)
김용민 앵커>
교육발전특구는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의 핵심으로 꼽히는데요.
교육발전특구란 어떤 정책이고,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교육발전특구로 선정된 지역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을 운영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교육발전특구 선정 지역에 대한 교육부의 지원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위한 글로컬 대학, 지금까지의 성과는 어떠하며, 올해 추가 지정 방향은 어떻게 계획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추진 현황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죠.
김현지 앵커>
'AID 선도대학'을 지정하여 성인에게 맞춤형 AI 디지털 교육으로 미래대응 역량 제고에 도움을 주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요.
어떻게 운영할 계획이신지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직업교육 혁신을 위해서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시는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2025년에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가장학금이 대폭 확대될 예정인데요.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올해 업무보고에 대학과 기업의 인재 파이프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 있던데요.
인재 파이프라인 정책은 어떤 것인가요?
김현지 앵커>
대학연구소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학연구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김용민 앵커>
학생들에게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전공 자율 선택제'가 추진되고 있는데요.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총 3회에 걸쳐 2025년 교육부 업무계획을 살펴봤습니다.
사교육·입시부담 완화, 맞춤형 지원 강화, 지역격차 해소와 청년 성장 지원까지 다양한 정책을 교육부 김영곤 차관보와 함께 전해드렸는데요.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37회) 클립영상
- 7차 변론기일···계엄 적법성·부정선거 의혹 신문 01:47
- "연금개혁 시급···저출생 반등 위한 정책 속도" 02:35
- 1~10일 수출 0.8%↑···하루 평균 수출액은 6.4% 감소 00:36
- 외교장관, 14~16일 MSC 참석···한미, 첫 회동 전망 01:42
- 독감 비급여 주사 진료비 3천103억, 5년 새 5배 급증 02:33
- 지난해 세수 결손 30조 원 이상···법인세 수입 급감 02:39
-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 강화···분쟁조정 21% 증가 01:34
- 불법·불건전 행위 엄단···가계부채·PF 위험 요인 관리 02:44
- 제6회 국무회의 개최···민생·경제 대응 플랜 가동 중 27:16
- 제6회 국무회의 모두발언 06:56
- 이스라엘, 남은 인질 송환 요구 [월드 투데이] 04:57
- "지역격차 해소·청년 성장 지원" 2025년 교육부 업무계획 26:47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 사실상 '실패'? [정책 바로보기] 03:45
- 오늘의 핫이슈 (25. 02. 11. 11시)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