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25% 관세 부과···긴급 대책 마련
등록일 : 2025.04.16 12:08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최근 미국이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우리 자동차 산업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가 긴급 대책을 마련했는데요.
김현지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관세 면제를 시사하긴 했지만,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정부의 자동차 관세 대응 방안은 무엇인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명지혜 사무관과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명지혜 /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사무관)
김용민 앵커>
지난 9일,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긴급 대책이 발표됐습니다.
이번 25% 관세 조치는 어떤 배경에서 나왔으며, 우리 자동차 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산업부에서는 긴급 유동성 확대 대책으로 '정책금융'과 '이자부담 경감'을 지원한다고 했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제조사 할인과 연계한 전기차 추가 보조금이 연말까지 연장되고 매칭 비율도 확대됐습니다.
소비자입장에서 어떤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까?
김현지 앵커>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도 추진 중입니다.
산업부가 밝힌 'FTA 활용 신시장 진출 확대' 방안은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수출 활로를 넓히기 위한 '수출 3종 세트' 지원도 발표됐는데요.
이 대책에 포함된 주요 지원책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에 자동차 공장을 더 많이 짓는 것도 중요할 텐데요.
기업들이 국내에 더 많이 투자하도록, 정부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기술력 확보도 자동차 산업에 있어 중요한 과제일 텐데요.
산업부가 수립 중인 '미래차 부품산업 기본계획'은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나요?
김현지 앵커>
관세 조치에 대한 외교적 대응도 중요합니다.
'협상 대응 강화'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정부가 중소 부품기업의 관세대응을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김현지 앵커>
이번 대응책은 산업부에 주어진 중요한 과제가 많아 보입니다.
미국 자동차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향후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명지혜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최근 미국이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우리 자동차 산업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가 긴급 대책을 마련했는데요.
김현지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관세 면제를 시사하긴 했지만,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정부의 자동차 관세 대응 방안은 무엇인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명지혜 사무관과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명지혜 /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사무관)
김용민 앵커>
지난 9일,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긴급 대책이 발표됐습니다.
이번 25% 관세 조치는 어떤 배경에서 나왔으며, 우리 자동차 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김현지 앵커>
산업부에서는 긴급 유동성 확대 대책으로 '정책금융'과 '이자부담 경감'을 지원한다고 했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제조사 할인과 연계한 전기차 추가 보조금이 연말까지 연장되고 매칭 비율도 확대됐습니다.
소비자입장에서 어떤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까?
김현지 앵커>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도 추진 중입니다.
산업부가 밝힌 'FTA 활용 신시장 진출 확대' 방안은 어떤 내용인가요?
김용민 앵커>
수출 활로를 넓히기 위한 '수출 3종 세트' 지원도 발표됐는데요.
이 대책에 포함된 주요 지원책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에 자동차 공장을 더 많이 짓는 것도 중요할 텐데요.
기업들이 국내에 더 많이 투자하도록, 정부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기술력 확보도 자동차 산업에 있어 중요한 과제일 텐데요.
산업부가 수립 중인 '미래차 부품산업 기본계획'은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나요?
김현지 앵커>
관세 조치에 대한 외교적 대응도 중요합니다.
'협상 대응 강화'를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요?
김용민 앵커>
정부가 중소 부품기업의 관세대응을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김현지 앵커>
이번 대응책은 산업부에 주어진 중요한 과제가 많아 보입니다.
미국 자동차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향후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명지혜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2회) 클립영상
- 미, 중국 외 관세 협상 본격화···"곧 발표" 02:01
-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결 위해 적극 교섭" 01:41
- 필수 추경 12조 원 편성···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도입 02:12
- 연금개혁 범부처 지원 TF···"구조개혁 이어져야" 01:55
- '국토위성 영상' 활용···산불 피해 신속 복구 지원 02:25
- 2025 소비재·서비스 수출대전···K-뷰티·음식 판로 개척 02:40
- 2028 수능 예상문항 공개···'9모' 대신 '8모'로 02:05
- 3월 수입물가 0.4%↓···국제유가 하락 영향 00:30
- 오늘의 날씨 (25. 04. 16. 10시) 01:10
- 미 관세 최대한 협상···자동차 긴급대책 적극 이행 22:29
- 우크라 시민, 트럼프 발언에 반발 [월드 투데이] 05:16
- 미국, 자동차 25% 관세 부과···긴급 대책 마련 18:31
- 농작물 산불 피해 신고의 98.8% 조사 완료···"보험금 지급 신속 진행" [정책 바로보기]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