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다음 달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
등록일 : 2025.06.30 20:05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7월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첫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
국정 운영의 조기 안착을 알리고, 향후 국정 방향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7월 3일 오전 10시, 취임 30일을 맞아 첫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제목은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민생경제와 정치, 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분야별로 나눠 묻고 답하는 시간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특히, 보다 가까이 소통할 수 있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녹취>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이번 기자회견은 인수위 없이 출발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조기 안착을 알리고, 앞으로의 국정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 등에 대해 활발히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될 것입니다."
취임 30일 기자회견은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해 이례적으로 이른 시점에 열리는 겁니다.
역대 대통령들은 통상 취임 100일을 전후해 정식 기자회견 자리를 가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언론과 활발히 소통하고 있습니다.
일주일 만에 대통령실 구내식당과 매점을 방문해 기자들과 마주했고,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로 향하던 대통령 전용기에서 예정에 없던 간담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녹취>이재명 대통령 / 기내 즉석 간담회(지난 16일)
"언론인 여러분한테 최대한 기회를 많이 드리자, 이런 입장입니다. 국민의 눈과 귀 역할을 하시는 분들이니까 잘 부탁드립니다."
대통령실은 타운홀 미팅 형식의 기자회견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적극적으로 대답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김정섭 / 영상편집: 김예준)
KTV 문기혁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7월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첫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
국정 운영의 조기 안착을 알리고, 향후 국정 방향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7월 3일 오전 10시, 취임 30일을 맞아 첫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제목은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민생경제와 정치, 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분야별로 나눠 묻고 답하는 시간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특히, 보다 가까이 소통할 수 있는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녹취>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이번 기자회견은 인수위 없이 출발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조기 안착을 알리고, 앞으로의 국정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 등에 대해 활발히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될 것입니다."
취임 30일 기자회견은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해 이례적으로 이른 시점에 열리는 겁니다.
역대 대통령들은 통상 취임 100일을 전후해 정식 기자회견 자리를 가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언론과 활발히 소통하고 있습니다.
일주일 만에 대통령실 구내식당과 매점을 방문해 기자들과 마주했고, G7 정상회의 참석차 캐나다로 향하던 대통령 전용기에서 예정에 없던 간담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녹취>이재명 대통령 / 기내 즉석 간담회(지난 16일)
"언론인 여러분한테 최대한 기회를 많이 드리자, 이런 입장입니다. 국민의 눈과 귀 역할을 하시는 분들이니까 잘 부탁드립니다."
대통령실은 타운홀 미팅 형식의 기자회견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적극적으로 대답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김정섭 / 영상편집: 김예준)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4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문화 영향력 키워야···예술인 기본소득 도입 필요" 01:59
- 이 대통령, 다음 달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 01:42
- 국정과제 초안 이번 주 정리···AI TF·균형성장 특위 신설 01:55
- 한미 관세협의 공청회···"농축산물 민감성·특수성 고려해 협의" 02:08
- 트럼프 "관세 서한 보낼 것"···정부, 협상 유연히 대처 [뉴스의 맥] 03:48
- 5월 주택 공급 지표 하락···악성 미분양 증가 지속 02:18
- 포괄 2차 종합병원 175곳···"3년간 2조 원 지원" 02:08
- 6월 모의평가 '영어 1등급' 역대 최대···'사탐런' 증가 01:49
- 상조업 선수금 10조 시대···공정위 "소비자 보호 만전" 02:06
- 페트병 맥주 '가정용' 구분 의무 폐지···주류 규제 완화 01:39
- 내일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30% 소득공제 02:09
- "전방에 침수 위험 구간"···내비게이션 경고 지역 확대 01:51
- 서울 올해 '첫 열대야'···전국 곳곳 폭염특보 02:01
- 5월 방한 외국인 163만 명···1년 전보다 14.9% 증가 00:34
- 내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후보도시에 '부산' 선정 00:36
- '2026년 월력요항' 발표 01:02
- 전국 20개 체인형 체육시설업 약관, 소비자에게 불리한 내용 확인 00:45
- "관리도 안되는데, 사고위험까지"···개인형 이동장치 '민원주의보' 발령 00:43
- 건강해진 어린 점박이물범,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다 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