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산불 전국 확산 총력 대응
등록일 : 2025.03.26 13:0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대형 산불이 엿새 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산림청에서는 산불 재난 국가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 수준으로 발령했습니다.

김현지 앵커>
장기화 되고 있는 산불의 진화 대책과 여전히 남아있는 위험 요인, 전문가와 함께 알아봅니다.
이향수 건국대 소방방재융합학과 교수 전화 연결되어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출연: 이향수 / 건국대 소방방재융합학과 교수)

김용민 앵커>
어제 태풍급 강풍을 타고 영남 지역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재확산 된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김현지 앵커>
대구와 경북 동해안에는 건조경보, 경북 내륙과 경남, 강원 동해안에는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고온·건조한 날씨에 강풍까지 겹치면서 장기화된 산불이 쉽게 잡히지 않을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어떤 진화 대책이 필요할까요?

김용민 앵커>
그동안의 대형 산불이 동해안을 따라 주로 일어났다면 이번에는 경북 내륙지역인데요.
급속한 기후변화 때문에 불길이 더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기후변화가 산불 발생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어떻게 보십니까?

김현지 앵커>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반복되면서 이제는 진화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김용민 앵커>
이번 진화에서 산림청과 경북 소방본부의 산불 특수대응단의 역량이 돋보였는데요.
산불 전문 인력 양성과 확충에 있어 어떤 방안이 필요할까요?

김현지 앵커>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에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고 안타까운 인명 피해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이향수 건국대 소방방재융합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