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출생아 증가율 11.6%···1월 기준 최고
등록일 : 2025.03.26 20:0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올해 1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보다 11% 넘게 늘었습니다.
월간 통계를 작성한 이후로 1월 기준으론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인데요.
인구 구조적 영향과 아울러, 결혼·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지난 1월 출생아 수는 2만 3천947명.
1년 전보다 2천486명, 11.6% 증가했습니다.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월 기준 '최고 증가율'입니다.
'합계출산율'은 0.88명으로, 지난해보다 0.08명 증가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 한 명의 출생아 수를 말합니다.
인구 구조적 영향과 결혼, 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지난해 4월 이후 지속되고 있는 혼인 증가건수의 영향도 있고요. 인구구조상으로 30대 여성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출산, 혼인 관련해서 정책적인 효과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난 1월 혼인 건수는 2만153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0.7% 증가했습니다.
지난 1월 사망자는 3만9천47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1.9% 늘어났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이에 따라 전체 인구는 1만 5천526명 줄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올해 1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보다 11% 넘게 늘었습니다.
월간 통계를 작성한 이후로 1월 기준으론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인데요.
인구 구조적 영향과 아울러, 결혼·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지난 1월 출생아 수는 2만 3천947명.
1년 전보다 2천486명, 11.6% 증가했습니다.
월간 통계 작성 이래 1월 기준 '최고 증가율'입니다.
'합계출산율'은 0.88명으로, 지난해보다 0.08명 증가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 한 명의 출생아 수를 말합니다.
인구 구조적 영향과 결혼, 출산 정책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지난해 4월 이후 지속되고 있는 혼인 증가건수의 영향도 있고요. 인구구조상으로 30대 여성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출산, 혼인 관련해서 정책적인 효과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난 1월 혼인 건수는 2만153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0.7% 증가했습니다.
지난 1월 사망자는 3만9천47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1.9% 늘어났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이에 따라 전체 인구는 1만 5천526명 줄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76회) 클립영상
- 국가유산 재난 위기경보 '심각' 발령···수용자 500명 이송 01:39
- 중대본부장 현장 점검···"조기 진화·피해복구 총력" 01:46
- 대국민담화···"이번주 산불 진화에 모든 역량" 01:55
- 산불 실화자도 최대 3년 징역형···'각별한 주의' 필요 01:39
- 내일 전국에 비···산불 잡는 '단비' 될까? 02:09
- 건조·고온·강풍 '기후변화'로 잦아진 대형 산불 [뉴스의 맥] 03:51
- 미 관세 피해기업 지원···통합 지원체계 구축 01:52
- 동·서·남해 해상기동훈련···"잠수함 도발 대응 강화" 01:32
- 1월 출생아 증가율 11.6%···1월 기준 최고 01:39
- 난임 시술 3년 새 36% 증가···평균연령 37.9세 01:42
- '수산인의 날' 맞아 온누리상품권 최대 2만 원 환급 02:09
- 어린이용 캐리어 품질비교 결과 01:03
- 「보험회사의 제3자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00:52
- "최신의 교정정보 보기쉬운 시각화로 한 눈에 파악" 00:42
- 경복궁 집옥재에서 만나는 책의 향기 00:55
- 4인 가구 최대 100만 원! 취약계층 '농식품바우처' 지원 확대 [클릭K+] 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