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종사자수 반등···건설업 증감률 8개월째 감소
등록일 : 2025.03.27 20:0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증가세로 바뀌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증가폭이 두드러지면서 전체 종사자 수를 견인했는데요.
반면 건설업은 8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가 1천995만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감소했던 전체 종사자수가 반등한 것입니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만2천 명, 0.1% 증가했습니다.
상용근로자는 지난해보다 2만2천 명, 0.1% 늘었습니다.
임시, 일용근로자는 1만9천 명, 1% 증가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사회 복지 서비스업의 전년 동월 대비 종사자 수 증가 폭이 두드러졌습니다.
과학 기술 서비스, 부동산업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 종사자 증감률은 감소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8만2천 명, 5.6% 줄었습니다.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진 것입니다.
녹취> 김재훈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
“(건설업 증감률 감소는) 이번이 가장 긴 기간입니다. 이번 2024년 7월부터 지금까지 감소가 이뤄지고 있는 게 가장 긴 감소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소매업 종사자도 지난해보다 1.5% 줄었습니다.
숙박, 음식점업에서도 종사자 수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달 실질 임금은 429만2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13.3% 늘었습니다.
설 상여금 등 특별 급여 증가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경은 입니다.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증가세로 바뀌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증가폭이 두드러지면서 전체 종사자 수를 견인했는데요.
반면 건설업은 8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가 1천995만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감소했던 전체 종사자수가 반등한 것입니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만2천 명, 0.1% 증가했습니다.
상용근로자는 지난해보다 2만2천 명, 0.1% 늘었습니다.
임시, 일용근로자는 1만9천 명, 1% 증가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사회 복지 서비스업의 전년 동월 대비 종사자 수 증가 폭이 두드러졌습니다.
과학 기술 서비스, 부동산업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건설업 종사자 증감률은 감소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8만2천 명, 5.6% 줄었습니다.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진 것입니다.
녹취> 김재훈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
“(건설업 증감률 감소는) 이번이 가장 긴 기간입니다. 이번 2024년 7월부터 지금까지 감소가 이뤄지고 있는 게 가장 긴 감소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소매업 종사자도 지난해보다 1.5% 줄었습니다.
숙박, 음식점업에서도 종사자 수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달 실질 임금은 429만2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13.3% 늘었습니다.
설 상여금 등 특별 급여 증가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경은 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77회) 클립영상
- 산불에 터전 잃은 주민들···재난특교세 지원 02:02
- 군, 산불진화 인력 추가 투입···주한미군 헬기 지원 01:32
- 산불 피해지역, 재난 의료체계 강화···이재민 긴급지원 02:02
- 안동 산불 확산에 안동교도소 수용자 이송 00:28
- 한 권한대행, 긴급지시···"중대본부장, 경북서 총괄 지휘" 00:31
- 산불 실화자도 최대 3년 징역형···'각별한 주의' 필요 01:40
- 산불 공식 붕괴···대응 체계 변화 필요 03:10
- 미, 자동차 관세 25% 부과···정부, 비상대책 4월 발표 02:00
- 한 권한대행 "통상전쟁···맞춤형 기업지원 집중" 02:01
- 농어촌 일자리 늘리고 관광 활성화···삶의 질↑ 01:39
- "많으면 10시간도"···청소년 40%, 스마트폰 '과의존' 02:36
- 사업체 종사자수 반등···건설업 증감률 8개월째 감소 01:47
- 일회용 액상 전자담배에서 유사 니코틴 검출 01:01
- 국내 유통 농·축·수산물 잔류 물질 검사 결과 안전한 수준 00:33
- 경복궁에서 만나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00:51
- 보문관광단지 지정 50주년 기념우표 발행 00:55
- 주거 안정부터 자산 형성까지, 2025년 청년 지원 정책 [클릭K+] 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