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11만여 개↑···보건·복지 중심 확대
등록일 : 2025.11.18 20:2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올해 2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만 개 이상 증가했습니다.
보건·사회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증가 폭이 컸는데, 연령대별로는 고령층에서 일자리 확대가 두드러졌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올해 2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일자리 11만1천 개 증가한 2천95만 개로 집계됐습니다.
신규 일자리는 232만 개, 반대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0만여 개였습니다.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산업은 보건·사회복지 분야로 13만4천 개 증가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과 보건업 모두 고르게 늘었습니다.
협회·수리·개인 서비스업에서도 3만 개가 증가했고,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에서도 2만8천 개 늘어나며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제조업은 전자부품과 금속제품을 중심으로 감소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 일자리가 6만6천 개 줄었고, 여성은 17만7천 개 늘면서 차이를 보였습니다.
여성 증가의 대부분은 보건·사회복지와 개인 서비스업에서 발생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23만5천 개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30대와 50대에서도 증가세가 나타났습니다.
반면 20대 이하와 40대는 각각 13만5천 개, 8만 개 감소했습니다.

녹취> 조성중 /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
"계층별로 보면 청년층에 어려움이 있는 것 같고, 업종별로 보면 건설 부문 쪽의 고용에 어려움이 계속 지속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부분들 계속 모니터링하고 또 대응방안도 계속 강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조직 형태별로는 정부·비법인단체와 회사 이외 법인에서 일자리가 늘었고, 회사법인과 개인 기업체는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지속적인 고령층 고용 확대와 보건·복지 수요 증가가 전체 고용 구조 변화를 이끄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