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노란봉투법' 시행령 개정 입법 예고
등록일 : 2025.11.27 13:1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하청 노조가 원청 사용자와 직접 교섭할 수 있도록 한 '노란봉투법' 시행이 내년 3월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교섭 절차의 기준을 담은 시행령을 내놨습니다.

김현지 앵커>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서명석 과장과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서명석 /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과장)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내년 3월부터 시행될 개정 노동조합법, 이른바 ‘노란봉투법’의 핵심 내용부터 먼저 짚어주시죠.

김현지 앵커>
노동계의 20년 숙원이라 불렸던 ‘노란봉투법’, 넉 달 뒤면 시행이 되는데요.
시행의 의미도 남다를 것 같습니다?

김용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열린 국무회의에서, 노동계의 협조도 당부했습니다.
당시 발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이번에 원청 사업자와 하청 노동자와 간의 구체적인 교섭 방식을 담은 시행령 개정안이 마련됐죠.
구체적으로 기존 교섭 방식과 어떻게 달라지는 건가요?

김용민 앵커>
만약, 원청 사용자와 하청 노조가 교섭 방식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이후 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김현지 앵커>
구체적인 교섭단위 분리 기준과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김용민 앵커>
앞서, 노동위원회가 원청의 사용자성에 대해 판단하게 될 거라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그 판단의 기준과 근거는 뭡니까?

김현지 앵커>
정부는 또, ‘사용자성 판단 지원위원회’ 설치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이 위원회는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 건가요?

김용민 앵커>
이렇게 달라진 교섭 방식이 노동자의 권리 보장에 실질적으로 어떤 도움을 가져다줄 거라고 보십니까?

김현지 앵커>
‘노란봉투법’ 시행에 따라, 앞으로 노동위원회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일각에선 인력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에 대한 해법은 있습니까?

김용민 앵커>
그런데, 이번 시행령 개정안을 놓고, 노동계와 경영계 양측 모두 부정적 반응을 내놓고 있습니다.
노동계에선 사용자가 교섭을 회피할 길을 열어줬다고 지적하고 있는데, 이런 의견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김현지 앵커>
반대로, 경영계 측에선 개별 교섭에 따른 경영 부담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이에 대해선 어떤 입장이신가요?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노란봉투법’ 시행을 앞두고 고용노동부가 계획하고 있는 후속 조치나 향후 계획이 있다면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서명석 고용노동부 노사관계법제과 과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