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안 하는 이유···남 "비용부담", 여 "상대 없어서"
등록일 : 2025.04.14 19:56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미혼 남성의 41%, 여성의 55%가, 결혼할 생각이 없거나 아직 결정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는 남성은 '결혼 비용이 부담돼서', 여성은 '맞는 상대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미·기혼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이 25.4%로 가장 많이 꼽혔고, '독신이 좋음'(19.3%)이 2위, '결혼보다 일 우선'(12.9%)이 3위였습니다.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이 19.5%로 가장 많았고, '독신이 좋음'(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이 뒤를 이었습니다.
결혼 조건에 대한 생각에서도 남녀 간 일부 차이를 보였습니다.
미혼 남성은 여성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97.3%로 가장 많이 꼽았는데, 여성 스스로는 86.6%만 이 응답을 택했습니다.
반면 남성이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보다 여성의 기대가 6.5%p 더 컸습니다.
출산에 있어선 미혼 남성 41.6%, 여성 59.1%가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는데, '양육비 부담'과 '자녀가 행복하지 않을 것 같아서'가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은화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연구소장
"(미혼 남녀의 결혼 인식 상) 공통점이라고 하면 독신 생활을 선호한다든지, 커리어를 중시하는 것들이 강해졌고요. 남녀 모두가 결혼과 출산, 양육이 페널티가 아닌 베네핏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일가족 양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합니다."
기혼 대상 조사에서는 남녀 모두 남성 육아휴직 기간으로 '1년 이상'을 가장 선호했지만, 실제 사용기간은 평균 7.6개월이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최유경입니다.
미혼 남성의 41%, 여성의 55%가, 결혼할 생각이 없거나 아직 결정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는 남성은 '결혼 비용이 부담돼서', 여성은 '맞는 상대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미·기혼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이 25.4%로 가장 많이 꼽혔고, '독신이 좋음'(19.3%)이 2위, '결혼보다 일 우선'(12.9%)이 3위였습니다.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이 19.5%로 가장 많았고, '독신이 좋음'(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이 뒤를 이었습니다.
결혼 조건에 대한 생각에서도 남녀 간 일부 차이를 보였습니다.
미혼 남성은 여성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97.3%로 가장 많이 꼽았는데, 여성 스스로는 86.6%만 이 응답을 택했습니다.
반면 남성이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보다 여성의 기대가 6.5%p 더 컸습니다.
출산에 있어선 미혼 남성 41.6%, 여성 59.1%가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는데, '양육비 부담'과 '자녀가 행복하지 않을 것 같아서'가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은화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연구소장
"(미혼 남녀의 결혼 인식 상) 공통점이라고 하면 독신 생활을 선호한다든지, 커리어를 중시하는 것들이 강해졌고요. 남녀 모두가 결혼과 출산, 양육이 페널티가 아닌 베네핏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일가족 양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합니다."
기혼 대상 조사에서는 남녀 모두 남성 육아휴직 기간으로 '1년 이상'을 가장 선호했지만, 실제 사용기간은 평균 7.6개월이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89회) 클립영상
- 한 대행 "추경안 조만간 국회 제출···신속 처리 기대" 02:02
- 불공정거래 시 거래 제한···계좌 지급정지 01:49
- "전자제품 관세 면제 없다"···관세율 다음주 중 발표 02:02
- '덤핑방지 관세' 회피 차단···100일 특별점검 02:29
- "한미 협상 곧 시작···필요시 트럼프와 직접 소통" 03:51
- 연이은 땅꺼짐 사고···"원인 파악·지반 정밀 탐사" 02:08
-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부대장 2명 추가 입건 02:18
- ICT 수출액 200억 달러 돌파···주요 품목 수출 회복세 01:57
- 어린이·청소년 B형독감 확산···"늦지 않게 백신 접종" 01:49
- 결혼 안 하는 이유···남 "비용부담", 여 "상대 없어서" 02:07
- 비바람·우박·대설특보···"수요일부터 봄기운 회복" 02:53
- 괴롭힘 인정 '거짓 통보'···"서면 통보 의무화해야" 02:49
- 권익위 "고시원 거주자에도 공공사업 주거이전비 지급해야" 02:29
- 한·일·중 세 나라, '2025~2026 문화교류의 해' 개막 00:32
- 문체부, 첫 '열린여행 주간'···관광 취약계층 여행 지원 00:33
- '탈모 예방' 등 부당광고 192건 적발 00:51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실전 경험으로 안전을 지키다 00:53
- 해양수산시설 안전한가요? 국민과 함께 집중 안전점검 추진 00:42
- 전국 국가유산 567개소 대상 '집중안전점검' 실시 0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