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결 위해 적극 교섭"
등록일 : 2025.04.16 12:1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우리나라에 대한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이 발효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는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교섭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민감국가 지정이 한미 연구개발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미국 에너지부는 지난 1월 우리나라를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 최하위 단계에 포함했습니다.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우리 측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였습니다.
예고한 대로 민감국가 지정 조치 효력이 현지시간 15일 발생했습니다.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를 방문하거나 정보 등에 접근할 때, 최소 45일 전에 요청서를 제출하고 별도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미 에너지부 직원이나 소속 연구자가 방문, 접촉할 때도 추가 보안 절차가 적용됩니다.
정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미 에너지부와 국장급 실무협의 등 적극적인 교섭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미는 앞서 지난달 에너지장관 회담에서 절차에 따라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다만, 민감국가 지정 해제는 미측 내부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재웅 / 외교부 대변인
"조속한 해제를 위해 미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미는 양국 과학·산업 협력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란 입장입니다.
정부는 최근 실무협의에서 미 에너지부 측은 민감국가 지정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추진하는 한미 연구개발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민감국가 지정 발효로 과학·산업협력에 차질이 없는지 지속해서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문기혁입니다.
우리나라에 대한 미국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지정이 발효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정부는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교섭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민감국가 지정이 한미 연구개발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미국 에너지부는 지난 1월 우리나라를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 최하위 단계에 포함했습니다.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우리 측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였습니다.
예고한 대로 민감국가 지정 조치 효력이 현지시간 15일 발생했습니다.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를 방문하거나 정보 등에 접근할 때, 최소 45일 전에 요청서를 제출하고 별도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미 에너지부 직원이나 소속 연구자가 방문, 접촉할 때도 추가 보안 절차가 적용됩니다.
정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미 에너지부와 국장급 실무협의 등 적극적인 교섭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미는 앞서 지난달 에너지장관 회담에서 절차에 따라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다만, 민감국가 지정 해제는 미측 내부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재웅 / 외교부 대변인
"조속한 해제를 위해 미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미는 양국 과학·산업 협력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란 입장입니다.
정부는 최근 실무협의에서 미 에너지부 측은 민감국가 지정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추진하는 한미 연구개발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민감국가 지정 발효로 과학·산업협력에 차질이 없는지 지속해서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2회) 클립영상
- 미, 중국 외 관세 협상 본격화···"곧 발표" 02:01
-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결 위해 적극 교섭" 01:41
- 필수 추경 12조 원 편성···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도입 02:12
- 연금개혁 범부처 지원 TF···"구조개혁 이어져야" 01:55
- '국토위성 영상' 활용···산불 피해 신속 복구 지원 02:25
- 2025 소비재·서비스 수출대전···K-뷰티·음식 판로 개척 02:40
- 2028 수능 예상문항 공개···'9모' 대신 '8모'로 02:05
- 3월 수입물가 0.4%↓···국제유가 하락 영향 00:30
- 오늘의 날씨 (25. 04. 16. 10시) 01:10
- 미 관세 최대한 협상···자동차 긴급대책 적극 이행 22:29
- 우크라 시민, 트럼프 발언에 반발 [월드 투데이] 05:16
- 미국, 자동차 25% 관세 부과···긴급 대책 마련 18:31
- 농작물 산불 피해 신고의 98.8% 조사 완료···"보험금 지급 신속 진행" [정책 바로보기]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