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공통뷰

울산발전소 매몰자 1명 사망···이시각 구조현장
등록일 : 2025.11.07 11:3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어제(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에 대한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밤사이 사망자 1명이 발생했는데요.
현장 연결해보겠습니다.
조태영 기자!

조태영 기자>
네, 저는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매몰자 7명에 대한 밤샘 구조 작업이 이어졌지만, 오늘(7일) 새벽 첫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당일 구조물과 땅 사이 틈에서 팔 부위가 끼인 채 발견된 40대 남성입니다.
소방당국은 구급대원이 진통제 투여와 보온 조치까지 했지만 결국 숨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사망 추정자는 4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중 한 명은 병원 이송 상태고, 3명은 매몰 상태입니다.
현장에는 700톤 크레인과 굴착기, 드론, 구조견까지 투입됐습니다.
하지만 철골구조물과 콘크리트 기둥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작업에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용민 앵커>
무너진 구조물은 철거 작업 중이던 보일러타워였습니다.
어쩌다가 붕괴가 일어난 건가요?

조태영 기자>
네, 말씀하셨다시피 사고 건물은 증기로 전기를 생산하던 보일러타워입니다.
1981년 준공된 노후화 건물로 철거 작업 중이었는데요.
어제(6일) 오후 2시 2분쯤 건물이 쉽게 무너지도록 내부 구조물을 잘라내는 취약화 작업 중에 붕괴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사고 수습이 마무리되는 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소방청은 사고 직후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해 2명을 구조했습니다.
이들은 인근 병원으로 치료받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은 중앙사고수습본부을 꾸려 지원 중입니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서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