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이 버팀목 될 것"···공공부문 지역제한 경쟁입찰 확대
등록일 : 2025.11.19 17:32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최근 경기회복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연말까지 재정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회의에서는 지역 건설사의 공공공사 참여를 확대하고, 지방정부 조달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신국진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소비와 수출 흐름이 개선되며 경기 회복세가 분명해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추경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13조 5천억 원 지급, 상생 페이백 환급 등 적극적인 재정운영이 회복세를 뒷받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연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재정이 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중앙·지방정부가 예산 불용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분야에 신속히 집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주요 공공기관도 금년도 투자를 더욱 확대하여 당초 계획 66조 원보다 3조 원 많은 69조 원 수준으로 투자합니다."
회의에서는 지방의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한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과 공공조달 개혁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정부는 지역 건설사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공사 금액을 현행 88억~100억 원 미만에서 150억 원 미만으로 상향했습니다.
100억 원 이상 공사에서는 지역경제 기여도 평가 비중을 강화하고, 기술형 입찰에도 지역균형발전 지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 조치를 통해 지역 업체의 연간 수주액을 3조 3천억 원 확대한다는 목표입니다.
아울러 공공조달 제도에서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조달청 단가계약 물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했던 규정을 폐지하고, 지방정부가 다양한 방식의 계약과 공급처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조치는 내년 경기도와 전북에 시범 적용한 뒤, 2027년 전국 모든 지방정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입찰 우대와 수의계약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조 원인 혁신제품 조달 규모 역시 2030년 2조 5천억 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민혜정)
정부는 제도 개편을 통해 지역경제 회복의 불씨를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입니다.
신국진입니다.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최근 경기회복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연말까지 재정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회의에서는 지역 건설사의 공공공사 참여를 확대하고, 지방정부 조달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신국진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소비와 수출 흐름이 개선되며 경기 회복세가 분명해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추경 집행, 민생회복 소비쿠폰 13조 5천억 원 지급, 상생 페이백 환급 등 적극적인 재정운영이 회복세를 뒷받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연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재정이 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중앙·지방정부가 예산 불용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분야에 신속히 집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주요 공공기관도 금년도 투자를 더욱 확대하여 당초 계획 66조 원보다 3조 원 많은 69조 원 수준으로 투자합니다."
회의에서는 지방의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한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과 공공조달 개혁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정부는 지역 건설사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공사 금액을 현행 88억~100억 원 미만에서 150억 원 미만으로 상향했습니다.
100억 원 이상 공사에서는 지역경제 기여도 평가 비중을 강화하고, 기술형 입찰에도 지역균형발전 지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 조치를 통해 지역 업체의 연간 수주액을 3조 3천억 원 확대한다는 목표입니다.
아울러 공공조달 제도에서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조달청 단가계약 물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했던 규정을 폐지하고, 지방정부가 다양한 방식의 계약과 공급처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조치는 내년 경기도와 전북에 시범 적용한 뒤, 2027년 전국 모든 지방정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입찰 우대와 수의계약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1조 원인 혁신제품 조달 규모 역시 2030년 2조 5천억 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민혜정)
정부는 제도 개편을 통해 지역경제 회복의 불씨를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입니다.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41회) 클립영상
- 한-UAE, '100년 동행' 공동선언···방산·AI 협력 강화 02:44
- 정부 "론스타 승소, 귀중한 승리···후속조치 대응" 00:29
- "재정이 버팀목 될 것"···공공부문 지역제한 경쟁입찰 확대 02:27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증가···공시집단 현황 공개 02:48
- 은행 창구에서도 '오픈뱅킹'···금융 소외 해소 02:06
- 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작년보다 3.4%↑ 01:51
- 반복되는 보일러 '하자' 피해···"합의율 절반 미만" 02:33
- 다음 주 누리호 4차 발사···첫 새벽 비행 01:59
- 교육 비정규직 총파업 D-1···"안정적 운영에 만전" 00:26
- 외국인 사업장 근로감독···법 위반 846건 적발 00:34
- 우크라, ‘탄소배출 피해 비용’ 러시아에 청구 [글로벌 핫이슈] 06:46
- 내 몸을 위한 최고의 투자 건강검진 잘 받는 법 [건강 365] 2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