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밸류체인 선점···미국과 연대"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11.19 20:19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미국과의 연대를 통해 글로벌 밸류체인을 선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조태영 기자, 구윤철 부총리가 말한 '글로벌 밸류체인 선점'이 어떤 의미인가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최근 한미 관세협상을 이어오면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느꼈다고 언급했습니다.
글로벌 통상 환경이 다자주의를 벗어나 보호주의로 변모하고 있고, 일부 국가의 자원 무기화로 공급망에도 문제가 생겼단 겁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이 매섭다보니 '섬뜩했다'는 표현까지 썼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중심국이다 보니 이런 통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글로벌 밸류체인'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설계, 생산 등 국가 간 분업 구조인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소극적으로 끌려가는 게 아니라 핵심이 돼서 주도한다는 뜻입니다.
김경호 앵커>
한국 경제를 더 큰 시각에서 운영하겠다는 의지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상 흐름을 주도하는 국가가 되려면 정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게 있을까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미국과의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최근 '한미 무역 협상' 체결로 우리나라가 미국에 총 3천5백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구 부총리는 이 기회를 살려 밸류체인을 선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조선업 1천5백억 달러 투자하면서는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미국과 연대해서 세계 최고의 중국도 따라할 수 없는 최고의 조선업을 구축하는 이런 적극적 개념.. 신산업 분야에 2천억 달러를 투자할 때 글로벌 밸류체인을 한국이 미국과 같이 주도할 수 있는..."
대미 투자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금 운용 주체가 필요하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주체가 만들어진다면 기재부와 관계 부처 등이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반도체, AI 등 신산업 분야 투자 재원에는 국민성장펀드도 활용할 방침입니다.
자금이 부족하면 상황에 따라 관계 부처와 논의해 추가 재정 확보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 지원도 늘립니다.
구 부총리는 매달 1회 기업과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D와 인력 지원, 규제 완화 등 필요한 부분도 조치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했다고요?
조태영 기자>
네, 그렇습니다.
구 부총리는 정부의 추경 등 정책 효과에 반도체 호황까지 겹치면서, 3분기 성장률이 6분기 만에 최고 수준인 1.2%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상생페이백 등을 통해 소비심리가 개선됐다며, 4분기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내년에는 잠재성장률인 1.8%를 목표로 우리 경제를 반등시킬 계획입니다.
김경호 앵커>
이외에도 눈여겨볼 만한 소식이 있을까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국내 주식에 장기투자한 소액주주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해외 주식 비율에 따라 혜택에 차등을 둘 전망이고, 내년 이른 시일 내 시행할 거라고 부연했습니다.
내년 1월부터는 정부 조직 개편으로 기획재정부가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되는데요.
이에 대해 구 부총리는 "직원들 아쉬움도 있지만, 이미 결정된 것은 받아들이고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새 업무로는 6대 구조개혁 총괄 등이 추가된다면서, "기회로 삼고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신설될 기획예산처와는 소통을 강화하는 등 시너지 효과를 낼 방침입니다.
김경호 앵커>
지금까지 취재기자와 함께 경제부총리 간담회 소식 짚어봤습니다.
조 기자, 잘 들었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미국과의 연대를 통해 글로벌 밸류체인을 선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소식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조태영 기자, 구윤철 부총리가 말한 '글로벌 밸류체인 선점'이 어떤 의미인가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최근 한미 관세협상을 이어오면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느꼈다고 언급했습니다.
글로벌 통상 환경이 다자주의를 벗어나 보호주의로 변모하고 있고, 일부 국가의 자원 무기화로 공급망에도 문제가 생겼단 겁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이 매섭다보니 '섬뜩했다'는 표현까지 썼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중심국이다 보니 이런 통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글로벌 밸류체인'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설계, 생산 등 국가 간 분업 구조인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소극적으로 끌려가는 게 아니라 핵심이 돼서 주도한다는 뜻입니다.
김경호 앵커>
한국 경제를 더 큰 시각에서 운영하겠다는 의지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상 흐름을 주도하는 국가가 되려면 정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게 있을까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미국과의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최근 '한미 무역 협상' 체결로 우리나라가 미국에 총 3천5백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는데, 구 부총리는 이 기회를 살려 밸류체인을 선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조선업 1천5백억 달러 투자하면서는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미국과 연대해서 세계 최고의 중국도 따라할 수 없는 최고의 조선업을 구축하는 이런 적극적 개념.. 신산업 분야에 2천억 달러를 투자할 때 글로벌 밸류체인을 한국이 미국과 같이 주도할 수 있는..."
대미 투자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금 운용 주체가 필요하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주체가 만들어진다면 기재부와 관계 부처 등이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반도체, AI 등 신산업 분야 투자 재원에는 국민성장펀드도 활용할 방침입니다.
자금이 부족하면 상황에 따라 관계 부처와 논의해 추가 재정 확보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 지원도 늘립니다.
구 부총리는 매달 1회 기업과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D와 인력 지원, 규제 완화 등 필요한 부분도 조치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했다고요?
조태영 기자>
네, 그렇습니다.
구 부총리는 정부의 추경 등 정책 효과에 반도체 호황까지 겹치면서, 3분기 성장률이 6분기 만에 최고 수준인 1.2%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과 상생페이백 등을 통해 소비심리가 개선됐다며, 4분기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내년에는 잠재성장률인 1.8%를 목표로 우리 경제를 반등시킬 계획입니다.
김경호 앵커>
이외에도 눈여겨볼 만한 소식이 있을까요?
조태영 기자>
구 부총리는 국내 주식에 장기투자한 소액주주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국내 해외 주식 비율에 따라 혜택에 차등을 둘 전망이고, 내년 이른 시일 내 시행할 거라고 부연했습니다.
내년 1월부터는 정부 조직 개편으로 기획재정부가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되는데요.
이에 대해 구 부총리는 "직원들 아쉬움도 있지만, 이미 결정된 것은 받아들이고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새 업무로는 6대 구조개혁 총괄 등이 추가된다면서, "기회로 삼고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신설될 기획예산처와는 소통을 강화하는 등 시너지 효과를 낼 방침입니다.
김경호 앵커>
지금까지 취재기자와 함께 경제부총리 간담회 소식 짚어봤습니다.
조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36회) 클립영상
- 한-UAE '경제동맹'···"AI·방산 350억 달러 성과 기대" 02:39
- "한-UAE 세계 최강국으로···기업 지원 아끼지 않을 것" 02:13
- 정부, 론스타와 13년 분쟁 승소···배상금 '0원' 02:10
- "재정이 버팀목 될 것"···공공부문 지역제한 경쟁입찰 확대 02:22
- "글로벌 밸류체인 선점···미국과 연대" [뉴스의 맥] 04:13
- 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작년보다 3.4%↑ 01:52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증가···공시집단 현황 공개 02:48
- 은행 창구에서도 '오픈뱅킹'···금융 소외 해소 02:07
- 해군 첫 잠수함 '장보고함' 마지막 항해···34년 대장정 마무리 02:09
- 다음 주 누리호 4차 발사···첫 새벽 비행 02:00
- 대전 일자리 페스티벌···지역 청년 일자리 지원 강화 02:10
- 반복되는 보일러 '하자' 피해···"합의율 절반 미만" 02:33
- 공공기관 유휴부지, 생활물류시설로 활용 01:04
- 해외직구 헤어드라이어, 전기드릴 등 7개 제품 KC 인증 기준 부적합 00:45
- 에너지 스틱 품질 비교 결과, 제품별 함유 성분 차이 있어 운동 유형에 맞게 선택해야 00:50
- 항생제 남용은 순간! 내성은 평생입니다! 함께 예방해요 0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