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아는 만큼 돌려받는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시작 [클릭K+]
등록일 : 2025.11.20 20:37
미니플레이
신경은 기자>
벌써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이맘때가 되면 어김없이, 직장인 분들은 '13월의 월급'이라 불리는 연말정산을 주목하게 되는데요.
지난해 세금을 낸 경험이 있다면 남은 두 달 동안 올해 지출 내역을 점검해 보는 게 좋습니다.
이때 유용한 서비스가 바로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미리보기'입니다.
1월부터 9월까지 카드, 보험료, 기부금 사용액이 자동으로 불러와지고, 남은 두 달 예상 지출만 입력하면 환급액이 실시간으로 계산되는데요.
연말까지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현금 중 어떤 지출 수단을 얼마나 이용하는 게 연말정산에 유리한지 확인도 가능합니다.

또, 올해부터 확대되는 공제 혜택도 살뜰히 챙겨봐야 하는데요.
기존에는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만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를 받았지만, 올해부터는 배우자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자녀수에 따라 세액공제 되는 금액도 10만 원씩 올라 자녀가 세 명인 경우 최대 95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고향사랑 기부금에 대한 공제도 확대됐는데요.
기존에는 10만 원 초과분에 대해 15% 세액공제를 받았지만,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할 경우 30%까지 세액공제 폭이 넓어지고 기부 한도도 500만 원에서 2천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같은 돈을 써도 환급액이 달라지는 연말정산.
핵심은 '언제, 어디에, 어떤 결제 수단'으로 쓰느냐인데요.
같은 금액을 써도 신용카드는 공제율이 15%, 체크카드나 현금 영수증은 30%, 전통시장과 대중교통은 40%로 달라집니다.
총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만 소득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출액 기준을 넘겼다면 남은 두 달은 공제율이 더 높은 현금이나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단,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점도 있습니다.
연간 소득 금액이 100만 원을 초과하는 가족은 인적공제 대상이 될 수 없는데 모르고 공제 대상에 넣었다면, 과소 신고 가산세와 연 8% 상당의 지연 이자 가산세도 내야 하는데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조회할 때 소득자의 소득 금액까지 조회가 가능하니까 꼭 확인하셔서 실수 없이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근로소득이 있는 모든 근로자는 내년 2월 급여를 받기 전까지 연말정산을 마쳐야 하는데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해 '13월의 월급'을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클릭K 플러스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