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 희망직업 1위 '교사'···'대학진학 희망' 감소
등록일 : 2025.11.27 20:12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최근 교권 침해 문제가 이어지고 있지만 교사가 중, 고등학생 희망직업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습니다.
이런 가운데 대학 진학을 희망한다는 고등학생 응답률이 지난해 이어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교육부가 지난 5월부터 약 한 달간 초중고 1천200곳 학생과 학부모, 교원 총 3만7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로 교육 현황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초등학생은 희망직업 1순위가 운동선수였고, 의사, 크리에이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학생은 교사가 희망직업 1순위였고, 운동선수와 의사, 경찰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고등학생 역시 교사가 희망직업 1순위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권침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희망직업 1순위로 교사가 부동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겁니다.
다만 희망직업이 없다는 학생 비율은 중학생이 40%에 달했고, 고등학생 28.7%, 초등학생 21.9%로 집계됐습니다.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모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졸업 후 대학 진학을 희망한다는 응답이 64.9%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처음으로 70% 아래로 떨어지더니 올해 전년 대비 더 하락했습니다.
오히려 졸업 후 바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은 15.6%로 집계돼 전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창업을 희망하는 응답은 3.3%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습니다.
직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 다양해지면서 대학만 고수했던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은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해 진로 교육을 강화한단 방침입니다.
녹취> 이솔잎 / 교육부 기초학력진로교육과 사무관
"2022개정 교육과정이랑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서 진로 교육이 더 강조되고 있는데 이런 변화를 반영해서 교육부에서도 학교 진로 교육이 더 내실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진로 체험 활동도 발굴하고 교원의 역량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학교 교원들의 진로 교육 요구사항으로는 '다양한 체험기회'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민지)
자세한 조사 내용은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최근 교권 침해 문제가 이어지고 있지만 교사가 중, 고등학생 희망직업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습니다.
이런 가운데 대학 진학을 희망한다는 고등학생 응답률이 지난해 이어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교육부가 지난 5월부터 약 한 달간 초중고 1천200곳 학생과 학부모, 교원 총 3만7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로 교육 현황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초등학생은 희망직업 1순위가 운동선수였고, 의사, 크리에이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중학생은 교사가 희망직업 1순위였고, 운동선수와 의사, 경찰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고등학생 역시 교사가 희망직업 1순위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권침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희망직업 1순위로 교사가 부동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겁니다.
다만 희망직업이 없다는 학생 비율은 중학생이 40%에 달했고, 고등학생 28.7%, 초등학생 21.9%로 집계됐습니다.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모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고등학생의 경우 졸업 후 대학 진학을 희망한다는 응답이 64.9%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처음으로 70% 아래로 떨어지더니 올해 전년 대비 더 하락했습니다.
오히려 졸업 후 바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은 15.6%로 집계돼 전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창업을 희망하는 응답은 3.3%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습니다.
직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이 다양해지면서 대학만 고수했던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은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해 진로 교육을 강화한단 방침입니다.
녹취> 이솔잎 / 교육부 기초학력진로교육과 사무관
"2022개정 교육과정이랑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서 진로 교육이 더 강조되고 있는데 이런 변화를 반영해서 교육부에서도 학교 진로 교육이 더 내실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진로 체험 활동도 발굴하고 교원의 역량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학교 교원들의 진로 교육 요구사항으로는 '다양한 체험기회'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김민지)
자세한 조사 내용은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42회) 클립영상
- "예산안 통과에 초당적 협조 당부···야당 주장도 수용" 01:59
- "외교복원에 전 역량 투입···'성과 구체화' 추진" 03:23
- 18분의 감동 비행···13개 탑재위성 궤도 안착 02:01
- 누리호 날아오르자 곳곳에서 환호···"우리의 자부심" 01:46
- 동남아 온라인 범죄 첫 독자 제재···개인 15명·단체 132개 01:58
- 감사원 "의대정원 2천 명 증원 근거 미흡" 01:54
- 기준금리 연 2.5% 동결···올해 성장률 1.0% 전망 02:09
- 3분기 가구당 소득 543만9천 원···소비 1.3% 증가 02:33
- '유튜브 라이트' 출시···백그라운드 재생·저장 기능 제공 01:45
- 위조 증명서·화약 타정총···산업안전 불법 물품 단속 02:14
- 중·고생 희망직업 1위 '교사'···'대학진학 희망' 감소 02:23
- '무료숙박권 당첨' 미끼···콘도회원권 피해 주의 02:34
- 방사청, 1천600억원 규모 'K-방산수출펀드' 신규 조성 00:48
- 올해의 관광지에 경주 황리단길···'한국 관광의 별' 선정 00:45
- 지난해 고독사 3천9백여 명···1년 새 7%↑ 00:36
- 상생페이백 12월까지 연장 시행··· 연말 소비 활성화 기대 01:01
- 전기장판· 난로 화재 안전에 유의하세요! 00:48
- 겨울철 해양사고 인명피해 최소화에 총력 00:44
- 외국인 통합계좌 이용 가이드라인 마련·배포 00:46
- 직장인, 어르신, 아이들까지! 2026년 '국민 체감형' 지원 확대! [클릭K+] 03: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