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지하화 하위 법령 시행···용적률 150%·건폐율 최대 완화
등록일 : 2025.01.31 20:29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철로를 땅 밑으로 내리고 땅 위 부지를 활용하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법령이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용적률은 기존의 150%로 높아지고 건폐율은 최대 수준으로 완화되는 등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 조성을 위한 특례가 대폭 확대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철도지하화와 철도부지 개발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정된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
철도지하화 통합개발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이 31일부터 시행됩니다.
녹취> 윤진환 / 국토교통부 철도국장 (지난 12월 30일)
"지역 여건에 맞는 맞춤형 개발을 위해 상부 개발 유형을 도심복합개발사업, 재정비 촉진사업, 복합 환승센터 사업 등 총 16개로 다각화하며..."
시행령을 통해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특례가 도입됩니다.
고밀, 복합 개발을 위해 용적률을 기존 법령의 150%까지, 건폐율은 최대 수준으로 완화합니다.
건축물의 옥상이나 포장된 주차장 등 인공지반은 용적률과 건폐율 산정에서 제외합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됐습니다.
지자체가 철도 지하화 사업에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때 사업의 파급효과와 장래의 지방세 수입 증가분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또 도로와 공원 등 기반 시설 설치비용은 시도지사가 우선 지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밖에도 사업 시행자가 사업비 조달을 위해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의 방법과 절차를 명확하게 명시해 재정 운용의 투명성을 높이고, 종합계획 수립, 변경 시 고시절차와 검사공무원의 증표 관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해 체계적 추진을 위한 기반도 마련됐습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KTV 윤현석입니다.
철로를 땅 밑으로 내리고 땅 위 부지를 활용하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법령이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용적률은 기존의 150%로 높아지고 건폐율은 최대 수준으로 완화되는 등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 조성을 위한 특례가 대폭 확대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철도지하화와 철도부지 개발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제정된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
철도지하화 통합개발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이 31일부터 시행됩니다.
녹취> 윤진환 / 국토교통부 철도국장 (지난 12월 30일)
"지역 여건에 맞는 맞춤형 개발을 위해 상부 개발 유형을 도심복합개발사업, 재정비 촉진사업, 복합 환승센터 사업 등 총 16개로 다각화하며..."
시행령을 통해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특례가 도입됩니다.
고밀, 복합 개발을 위해 용적률을 기존 법령의 150%까지, 건폐율은 최대 수준으로 완화합니다.
건축물의 옥상이나 포장된 주차장 등 인공지반은 용적률과 건폐율 산정에서 제외합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됐습니다.
지자체가 철도 지하화 사업에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때 사업의 파급효과와 장래의 지방세 수입 증가분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또 도로와 공원 등 기반 시설 설치비용은 시도지사가 우선 지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밖에도 사업 시행자가 사업비 조달을 위해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의 방법과 절차를 명확하게 명시해 재정 운용의 투명성을 높이고, 종합계획 수립, 변경 시 고시절차와 검사공무원의 증표 관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해 체계적 추진을 위한 기반도 마련됐습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정성헌)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639회) 클립영상
- '내란특검법' 재의 요구···"헌법·국익 부정적 영향" 02:13
- 헌재 "탄핵심판, 재판관 성향에 좌우되지 않아" 02:23
- 윤 대통령, 대통령실 참모진 접견···일반 접견은 처음 00:33
- 에어부산 화재 여객기, 2월 3일 현장 감식 실시 02:07
- 항공기 화재 10년간 14건···재산 피해액은 최대 01:47
- 기내 배터리 사고 지난해 5건···관리 규정 '모호' 지적도 [뉴스의 맥] 03:57
- 미국 통상압박 강화···"신속한 초기 대응 중요" 01:49
- 지난해 방한 관광객 1천630만 명···코로나 이전 93.5% 회복 02:17
- 설 연휴 응급실 찾은 경증 환자 41% 감소 01:32
- 설 연휴 대설 피해에 응급복구 총력···"농축산물 탄력적 공급" 01:48
- 설 연휴 119신고 13만여 건···전년 대비 50% 증가 00:26
- 철도지하화 하위 법령 시행···용적률 150%·건폐율 최대 완화 01:50
- "요소 대란 없다"···중국산 비중 20%대로 감소 02:13
- 최 권한대행 공관장 인사 단행···주쿠바대사에 이호열 00:33
- 문화누리카드 '1인당 14만 원'···264만 명 지원 00:36
- 2차 베이비부머 은퇴···계속고용 논의 본격화 [현미경] 02:49
- 배우자 출산휴가, 이제 20일까지 쓸 수 있어요 01:03
-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R&D) 수행기업 모집 00:42
-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