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수출기업 '품목 분류' 혼란···관세 행정 강화
등록일 : 2025.04.12 07:52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기본 관세와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는 부과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 관세정책에 따른 정부 대응, 취재기자 연결해 더 알아봅니다.
김찬규 기자.

김찬규 기자>
(장소: 정부서울청사)

네, 말씀하신 것처럼 미국의 품목별 관세와 기본 관세 10%는 발효 중입니다.
복잡해진 관세 제도로 중소 수출기업의 어려움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월부터 '관세 애로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수주 불발과 납품 지연 등 피해 사례가 접수됐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을 미국에 수출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도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미국의 관세정책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건데요.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은 품목 분류였습니다.
특히 파생상품 수출에 있어 품목 분류 번호, HS 코드와 관련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관세 행정을 강화해 이 부분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련 발언 들어보시죠.

녹취> 최상목 경제부총리
"복잡해지는 미국의 관세 제도로 수출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관세행정을 강화하여 수출기업의 현장 애로 사항도 면밀히 살펴 적극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최대환 앵커>
HS 코드에 대해서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대미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김찬규 기자>
HS 코드는 수출 물품이 관세 대상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데 쓰입니다.
10자리로 이루어진 코드에서 앞 6자리는 세계 공통이지만, 끝 네 자리가 나라마다 달라 혼란이 생기는 겁니다.
관세청은 미국과 한국의 품목 번호를 맞춘 표를 작성해 안내하기로 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 파생제품 연계표는 지난달 공개됐고 자동차와 그 부품 관련 상호관세부과 제외 대상도 다음 달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또 관세평가분류원에 미국 관세 품목분류 상담센터도 개설해 운영합니다.

최대환 앵커>
한국과 미국 두 나라의 관세 당국 간 소통도 필요할 텐데요.
어떻습니까?

김찬규 기자>
네, 관세청은 미국 관세국경보호청과 협력 체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 부과와 징수, 통관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다음 달 8일 한-미 관세 당국 간 협력회의도 진행됩니다.
정부는 모든 소통 채널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미국 관세정책의 세부 정보를 공유할 계획입니다.
예로 함량 관세를 들 수 있습니다.
특정 제품의 철강과 알루미늄 함유량에 따라 해당 품목의 관세가 결정되는데요.
이런 '함량 관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겁니다.
품목 분류에 관한 양국의 입장 차를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한 협의 채널을 구축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국내 부처간 협력도 중요한데요.
현재 관세청과 중기부, 산업부가 관세 대응의 핵심 부처입니다.
관세청은 중기부 수출지원센터 등과 핫라인을 가동하는데요.
수출 기업에 필요한 관세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방침입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와 특허청 등으로 구성된 수출기업지원 원팀을 통해서도 기업을 지원합니다.

지금까지 정부서울청사에서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