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판로 넓힌다···43개국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등록일 : 2025.04.17 14:14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케이푸드 수출액이 최근 9년 연속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케이푸드 판로를 더 넓히기 위해 43개국 해외 바이어와 230개 수출기업 간 만남의 장을 마련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기자>
지난해부터 일본 수출 중인 국산 유기농 쌀과자.
기업 대표가 제품 홍보에 열을 올립니다.
바이어 호응에 힘입어, 올 하반기 미국 수출길이 열릴 희망이 커졌습니다.
녹취> 변동훈 / (주)네이처오다 대표
"(바이어가) 맛을 보고 '맛있다'라고 이야기를 했고... 실제 미국 시장에서도 굉장히 좋은 성과가 있을 것 같다, 잘 팔릴 것 같다 이렇게 말을... 사실 저도 좀 놀랐습니다. 이렇게 좋은 반응을 보일 줄 몰라서..."
녹취> 리처드 워드웰 / 'Superior Grocers' 대표
"저희 업체에선 냉동, 건조식품, 소스류를 가리지 않고 한국 식품에 갈수록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고, 관심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5 케이푸드 플러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장소: 16일, aT센터)
16일 서울 양재에서 막을 올린 '케이푸드 플러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최근 케이푸드 수출 실적이 9년 연속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가 농식품 수출 판로를 넓히기 위해 해외 바이어와 수출기업 간 만남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이날 참석한 송미령 장관은 이번 상담회가 케이푸드 새 거래선 발굴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수출기업들에는 시장 다변화를 통해서 글로벌 시장으로 좀 더 넓게 도약할 수 있는 소중한 발판으로 이 기회가 활용되고, 바이어 여러분께는 우수한 한국의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들이 현지에 널리 더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이날 행사에는 농식품 분야에서만 43개국 123개 기업 바이어와 수출기업 230곳이 참여했습니다.
농식품 주력시장인 미·중·일을 포함해 아세안과 유럽, 중동에서도 다수 참여했습니다.
녹취> 자이드 얼라스위더 / 'Asiana Food Stuff' 대표
"김치하고 떡볶이, 한국 소스가 사우디에서 제일 (인기가) 많습니다. 사우디 시장에서 건강식(healthy snacks)에 관심 많아서, 좋은 회사 만나면 좋겠습니다."
앞서 정부는 현장에서 수출계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기업 간 온라인 사전 면담을 주선했습니다.
이날 개막한 수출상담회는 17일까지 이어집니다.
정부는 올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액 목표치 140억 달러 달성을 위해, 원료구매 자금 추가지원과 수출바우처 확대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동, 중남미 등 케이푸드 신시장 확대를 위해 할랄, 매운맛 제품 등으로 맞춤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수오 / 영상편집: 최은석)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케이푸드 수출 환경이 변화하는 가운데, 정부는 중동, 중남미 등 새로운 유망시장 진출에도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케이푸드 수출액이 최근 9년 연속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케이푸드 판로를 더 넓히기 위해 43개국 해외 바이어와 230개 수출기업 간 만남의 장을 마련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기자>
지난해부터 일본 수출 중인 국산 유기농 쌀과자.
기업 대표가 제품 홍보에 열을 올립니다.
바이어 호응에 힘입어, 올 하반기 미국 수출길이 열릴 희망이 커졌습니다.
녹취> 변동훈 / (주)네이처오다 대표
"(바이어가) 맛을 보고 '맛있다'라고 이야기를 했고... 실제 미국 시장에서도 굉장히 좋은 성과가 있을 것 같다, 잘 팔릴 것 같다 이렇게 말을... 사실 저도 좀 놀랐습니다. 이렇게 좋은 반응을 보일 줄 몰라서..."
녹취> 리처드 워드웰 / 'Superior Grocers' 대표
"저희 업체에선 냉동, 건조식품, 소스류를 가리지 않고 한국 식품에 갈수록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고, 관심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5 케이푸드 플러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장소: 16일, aT센터)
16일 서울 양재에서 막을 올린 '케이푸드 플러스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최근 케이푸드 수출 실적이 9년 연속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가 농식품 수출 판로를 넓히기 위해 해외 바이어와 수출기업 간 만남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이날 참석한 송미령 장관은 이번 상담회가 케이푸드 새 거래선 발굴의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송미령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수출기업들에는 시장 다변화를 통해서 글로벌 시장으로 좀 더 넓게 도약할 수 있는 소중한 발판으로 이 기회가 활용되고, 바이어 여러분께는 우수한 한국의 농식품과 농산업 제품들이 현지에 널리 더 많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이날 행사에는 농식품 분야에서만 43개국 123개 기업 바이어와 수출기업 230곳이 참여했습니다.
농식품 주력시장인 미·중·일을 포함해 아세안과 유럽, 중동에서도 다수 참여했습니다.
녹취> 자이드 얼라스위더 / 'Asiana Food Stuff' 대표
"김치하고 떡볶이, 한국 소스가 사우디에서 제일 (인기가) 많습니다. 사우디 시장에서 건강식(healthy snacks)에 관심 많아서, 좋은 회사 만나면 좋겠습니다."
앞서 정부는 현장에서 수출계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기업 간 온라인 사전 면담을 주선했습니다.
이날 개막한 수출상담회는 17일까지 이어집니다.
정부는 올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액 목표치 140억 달러 달성을 위해, 원료구매 자금 추가지원과 수출바우처 확대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동, 중남미 등 케이푸드 신시장 확대를 위해 할랄, 매운맛 제품 등으로 맞춤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수오 / 영상편집: 최은석)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케이푸드 수출 환경이 변화하는 가운데, 정부는 중동, 중남미 등 새로운 유망시장 진출에도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