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국가균형발전 전략은?
등록일 : 2025.07.02 11:49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2020년 이후 수도권 인구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서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에 정부는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5극 3특' 중심의 균형발전 체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산업연구원 정윤선 부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정윤선 /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용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수도권 집중을 벗어나 국토 균형발전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영상 먼저 보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모두에서 말씀드리긴 했지만,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5극 3특 행정체계를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추진 배경과 어떤 점에 중점을 뒀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앞서 5극 3특의 지역별로 특화육성전략을 추진한다고 하셨는데요.
그 내용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런데 그동안 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해왔음에도 지방소멸이 가속화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김용민 앵커>
그동안 정부에서 추진했던 균형발전 정책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세종시와 혁신도시를 들 수 있겠는데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김용민 앵커>
국정기획위원회의 브리핑이 있습니다.
브리핑 듣고, 대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브리핑 듣고 왔습니다.
균형 발전에 대한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정책인 5극 3특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의견이 제시되어 왔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조금 더 말씀해 주신다면요?
김현지 앵커>
새 정부의 행정수도 완성과 5극 3특 정책이 성공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안해 주신다면요?
김용민 앵커>
오늘 전체적인 말씀을 들어보니 앞으로 5극 3특 전략이 균형발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요.
끝으로 새 정부의 균형발전에 거는 기대가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업연구원 정윤선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2020년 이후 수도권 인구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서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에 정부는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5극 3특' 중심의 균형발전 체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산업연구원 정윤선 부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정윤선 /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용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수도권 집중을 벗어나 국토 균형발전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영상 먼저 보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김현지 앵커>
모두에서 말씀드리긴 했지만, 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5극 3특 행정체계를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추진 배경과 어떤 점에 중점을 뒀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앞서 5극 3특의 지역별로 특화육성전략을 추진한다고 하셨는데요.
그 내용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현지 앵커>
그런데 그동안 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해왔음에도 지방소멸이 가속화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김용민 앵커>
그동안 정부에서 추진했던 균형발전 정책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세종시와 혁신도시를 들 수 있겠는데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김용민 앵커>
국정기획위원회의 브리핑이 있습니다.
브리핑 듣고, 대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브리핑 듣고 왔습니다.
균형 발전에 대한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김용민 앵커>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정책인 5극 3특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의견이 제시되어 왔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조금 더 말씀해 주신다면요?
김현지 앵커>
새 정부의 행정수도 완성과 5극 3특 정책이 성공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안해 주신다면요?
김용민 앵커>
오늘 전체적인 말씀을 들어보니 앞으로 5극 3특 전략이 균형발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요.
끝으로 새 정부의 균형발전에 거는 기대가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산업연구원 정윤선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832회) 클립영상
- 정부조직 개편 속도···'찾아가는 모두의 버스' 출발 01:52
- '3단계 DSR' 시행···1억 원까지 예금 보호 02:35
- 못 받은 양육비 정부가 선지급···안정적 양육환경 기대 02:00
- 연예인 등 질병으로 군 면제 시 3년간 추적 관찰 02:05
- 폭우와 폭염 오가는 '도깨비 장마'···안전 대비 필수 02:44
- 나트륨 섭취 줄었지만···여전히 WHO 기준 1.6배 02:13
- 6월 소비자물가 2.2% 상승···먹거리 물가 고공행진 00:27
- 오늘의 날씨 (25. 07. 02. 10시) 01:08
- 이 대통령, 주식으로 부동산 쏠림 해소 23:01
- "일본과 무역협상 시한 연장 없어" [월드 투데이] 05:48
- 새 정부 국가균형발전 전략은? 31:21
-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 브리핑 (25. 07. 02. 11시) 0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