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방역 관리체계, 지자체 주도로 전환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3.06 08:54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소식, 취재기자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경은 기자, 이번 회의에서 '중장기 가축 방역 발전 대책'이 발표됐죠.
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신경은 기자>
'가축 방역 관리 체계'를 바꾸겠다는 게 핵심인데요.
우선 지자체가 여건과 특성에 맞게 주기적으로 '맞춤형 방역 관리 계획'을 세우고, 정부는 지자체의 방안이 계획대로 이행되는지 관리, 지원하는 구조로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 직접 들어보시죠.
녹취> 최정록 /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
"광역지자체는 3년마다 가축전염병 예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고병원성 AI 등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지자체는 과거 가축전염병 발생 상황을 고려해 위험농가 및 축산관계시설, 밀집단지, 중점방역관리지구의 방역계획을 매년 수립해 추진하게 됩니다."
최대환 앵커>
'가축 방역 관리 체계'를 지자체가 주도하는 방향으로 바꾸겠다는 설명인데요.
정부의 관리와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집니까?
신경은 기자>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교육과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우선 지자체의 방역 대책을 정부가 평가하고요.
평가 결과가 우수한 지자체 대상으로, 방역 관련 사업을 우선 지원합니다.
또 방역 인력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고, '가상 방역 훈련'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농가의 방역 수준을 제고하는 노력도 이어가는데요.
이를 위해 정부는 '자율 방역 캠페인'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무엇보다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노력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신경은 기자>
네, 맞습니다.
이번에 관련 대책도 마련됐는데요.
정부는 '스마트 방역'을 활용해 가축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위험 지역과 농가를 선별하고요.
이를 중심으로 방역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한 위험도 평가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최대환 앵커>
이번 회의에서는 'K-농업기술'을 활용해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방안도 나왔죠?
신경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농업 기술 ODA 협력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 담겼습니다.
수원국의 농업 정책과 연계해, 'ODA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인데요.
올해는 파키스탄, 우즈벡 등 6개 나라와 '농업 ODA 사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더 나아가 '농업 ODA'를 기반으로, 농기자재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구상도 밝혔습니다.
최대환 앵커>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내용,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신경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계속해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소식, 취재기자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경은 기자, 이번 회의에서 '중장기 가축 방역 발전 대책'이 발표됐죠.
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신경은 기자>
'가축 방역 관리 체계'를 바꾸겠다는 게 핵심인데요.
우선 지자체가 여건과 특성에 맞게 주기적으로 '맞춤형 방역 관리 계획'을 세우고, 정부는 지자체의 방안이 계획대로 이행되는지 관리, 지원하는 구조로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설명, 직접 들어보시죠.
녹취> 최정록 /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
"광역지자체는 3년마다 가축전염병 예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고병원성 AI 등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지자체는 과거 가축전염병 발생 상황을 고려해 위험농가 및 축산관계시설, 밀집단지, 중점방역관리지구의 방역계획을 매년 수립해 추진하게 됩니다."
최대환 앵커>
'가축 방역 관리 체계'를 지자체가 주도하는 방향으로 바꾸겠다는 설명인데요.
정부의 관리와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집니까?
신경은 기자>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교육과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우선 지자체의 방역 대책을 정부가 평가하고요.
평가 결과가 우수한 지자체 대상으로, 방역 관련 사업을 우선 지원합니다.
또 방역 인력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고, '가상 방역 훈련'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농가의 방역 수준을 제고하는 노력도 이어가는데요.
이를 위해 정부는 '자율 방역 캠페인'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무엇보다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노력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신경은 기자>
네, 맞습니다.
이번에 관련 대책도 마련됐는데요.
정부는 '스마트 방역'을 활용해 가축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위험 지역과 농가를 선별하고요.
이를 중심으로 방역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인공지능을 활용한 위험도 평가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최대환 앵커>
이번 회의에서는 'K-농업기술'을 활용해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방안도 나왔죠?
신경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농업 기술 ODA 협력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 담겼습니다.
수원국의 농업 정책과 연계해, 'ODA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인데요.
올해는 파키스탄, 우즈벡 등 6개 나라와 '농업 ODA 사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더 나아가 '농업 ODA'를 기반으로, 농기자재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구상도 밝혔습니다.
최대환 앵커>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내용, 자세히 짚어봤습니다.
신경은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370회) 클립영상
- "산업 환경 급변···선제적 투자로 '시간 선점'" 02:25
- 첨단전략산업 기금 신설···반도체·AI 등 지원 02:14
- 가축방역 관리체계, 지자체 주도로 전환 [뉴스의 맥] 03:11
- 트럼프, 한국 겨냥···관세·방위비 '사정권' 01:51
- 중기 해외법인 정책자금 600억 투입···수출국 다변화 지원 02:22
- 탑티어 비자 이달 신설···"첨단분야 인재 유치" 02:34
- 선관위원장, '고위직 자녀 특혜채용' 대국민 사과 00:29
- 1인당 국민소득 3만6천624달러···1.2% 증가 02:27
- 당근마켓, 사업자 신원정보 제공 의무 위반 ···시정명령 부과 02:32
- "가방 바퀴 안에 몰래 숨겨"···금 밀수 급증, 집중 단속 02:16
- 카페로 변한 '옛날 보건소'···농촌 유휴시설 활용 본격화 02:10
- 체불임금 144억 원 적발···익명제보센터 추가 운영 02:01
- '음식중독 고위험군' 비만 아동, 불안·우울감 더 높다 0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