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안 하는 이유···남 "비용부담", 여 "상대 없어서"
등록일 : 2025.04.15 12:4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미혼 남성 41.5%, 여성은 55.4%가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현지 앵커>
그 이유로는 남성은 "결혼 비용이 부담돼서", 여성은 "맞는 상대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미·기혼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이 25.4%로 가장 많이 꼽혔고, '독신이 좋음'(19.3%)이 2위, '결혼보다 일 우선'(12.9%)이 3위였습니다.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이 19.5%로 가장 많았고, '독신이 좋음'(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이 뒤를 이었습니다.
결혼 조건에 대한 생각에서도 남녀 간 일부 차이를 보였습니다.
미혼 남성은 여성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97.3%로 가장 많이 꼽았는데, 여성 스스로는 86.6%만 이 응답을 택했습니다.
반면 남성이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보다 여성의 기대가 6.5%p 더 컸습니다.
출산에 있어선 미혼 남성 41.6%, 여성 59.1%가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는데, '양육비 부담'과 '자녀가 행복하지 않을 것 같아서'가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전화 인터뷰> 이은화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연구소장
"(미혼 남녀의 결혼 인식 상) 공통점이라고 하면 독신 생활을 선호한다든지, 커리어를 중시하는 것들이 강해졌고요. 남녀 모두가 결혼과 출산, 양육이 페널티가 아닌 베네핏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일가족 양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합니다."
기혼 대상 조사에서는 남녀 모두 남성 육아휴직 기간으로 '1년 이상'을 가장 선호했지만, 실제 사용기간은 평균 7.6개월이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최유경입니다.
미혼 남성 41.5%, 여성은 55.4%가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현지 앵커>
그 이유로는 남성은 "결혼 비용이 부담돼서", 여성은 "맞는 상대가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최유경 기자입니다.
최유경 기자>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미·기혼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구행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이 25.4%로 가장 많이 꼽혔고, '독신이 좋음'(19.3%)이 2위, '결혼보다 일 우선'(12.9%)이 3위였습니다.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이 19.5%로 가장 많았고, '독신이 좋음'(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이 뒤를 이었습니다.
결혼 조건에 대한 생각에서도 남녀 간 일부 차이를 보였습니다.
미혼 남성은 여성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97.3%로 가장 많이 꼽았는데, 여성 스스로는 86.6%만 이 응답을 택했습니다.
반면 남성이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남성보다 여성의 기대가 6.5%p 더 컸습니다.
출산에 있어선 미혼 남성 41.6%, 여성 59.1%가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는데, '양육비 부담'과 '자녀가 행복하지 않을 것 같아서'가 주된 이유로 꼽혔습니다.
전화 인터뷰> 이은화 / 인구보건복지협회 인구연구소장
"(미혼 남녀의 결혼 인식 상) 공통점이라고 하면 독신 생활을 선호한다든지, 커리어를 중시하는 것들이 강해졌고요. 남녀 모두가 결혼과 출산, 양육이 페널티가 아닌 베네핏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일가족 양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합니다."
기혼 대상 조사에서는 남녀 모두 남성 육아휴직 기간으로 '1년 이상'을 가장 선호했지만, 실제 사용기간은 평균 7.6개월이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1회) 클립영상
- 필수 추경 12조 원 편성···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도입 02:13
- 미, 반도체 관세부과 수순···차 부품 일시유예 시사 02:21
- 연이은 땅꺼짐 사고···"원인 파악·지반 정밀 탐사" 02:03
- 어린이·청소년 B형독감 확산···"늦지 않게 백신 접종" 01:46
- 괴롭힘 인정 '거짓 통보'···"서면 통보 의무화해야" 02:50
- 결혼 안 하는 이유···남 "비용부담", 여 "상대 없어서" 02:05
- 낮부터 기온 올라···내일부터 봄기운 회복 00:26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대응 백서' 발간 00:24
- 오늘의 날씨 (25. 04. 15. 10시) 01:03
- 미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 24:02
- 트럼프, 이란에 경고 [월드 투데이] 04:06
- 국민 생활 재난·안전 문제···과학기술 개발로 해결 15:32
- 첫 경제안보장관회의 개최···대미 협상 철저히 준비 00:23
- 맞춤형 고용정책 확대···'50대 일자리' 적극 지원 [정책 바로보기] 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