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 섭취 줄었지만···여전히 WHO 기준 1.6배
등록일 : 2025.07.01 20:04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보다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또 당류는 청소년 등 일부 연령층에서 많이 섭취하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23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3천136mg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에 비해서는 4.7%, 저감 정책 이전인 2011년보다는 34.5% 감소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이 수치를 세계보건기구, WHO 권고기준과 놓고 비교해보면 1.6배 높은 수준으로 확인됐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남자가 여자보다 1천mg 많이 나트륨을 섭취하고, 가장 많이 섭취하는 연령은 30~40대로 나타났습니다.
나트륨의 50% 이상은 주로 면과 만두류, 김치류, 국-탕류 등에서 섭취하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라면과 김치를 통한 나트륨 섭취가 많았습니다.
식약처는 가정에서 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높지만 한 끼 식사로 제공되는 나트륨 함량은 외식 때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국인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2023년 35.5g으로 최근 5년간 큰 변동이 없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는 하루 총열량의 8% 미만을 차지해 WHO 권고 기준 이내였습니다.
다만 6세부터 11세 사이 여자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은 WHO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걸로 조사돼 주의가 요구됩니다.
빵류와 아이스크림을 많이 섭취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나트륨과 당은 지속적으로 과다 섭취하면 고혈압과 비만 등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순호 /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기능연구과장
"소금 장류 대신 표고나 다시마, 멸치 가루 등을 사용하고 또 햄, 소시지 등은 끓는 물에 데쳐서 사용하고 간식으로 과자나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식약처는 염도가 덜하고 덜 단 가공식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정유림입니다.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보다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또 당류는 청소년 등 일부 연령층에서 많이 섭취하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23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3천136mg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2019년에 비해서는 4.7%, 저감 정책 이전인 2011년보다는 34.5% 감소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이 수치를 세계보건기구, WHO 권고기준과 놓고 비교해보면 1.6배 높은 수준으로 확인됐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남자가 여자보다 1천mg 많이 나트륨을 섭취하고, 가장 많이 섭취하는 연령은 30~40대로 나타났습니다.
나트륨의 50% 이상은 주로 면과 만두류, 김치류, 국-탕류 등에서 섭취하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모든 연령대에서 라면과 김치를 통한 나트륨 섭취가 많았습니다.
식약처는 가정에서 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높지만 한 끼 식사로 제공되는 나트륨 함량은 외식 때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국인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2023년 35.5g으로 최근 5년간 큰 변동이 없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당류는 하루 총열량의 8% 미만을 차지해 WHO 권고 기준 이내였습니다.
다만 6세부터 11세 사이 여자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은 WHO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걸로 조사돼 주의가 요구됩니다.
빵류와 아이스크림을 많이 섭취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나트륨과 당은 지속적으로 과다 섭취하면 고혈압과 비만 등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순호 /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기능연구과장
"소금 장류 대신 표고나 다시마, 멸치 가루 등을 사용하고 또 햄, 소시지 등은 끓는 물에 데쳐서 사용하고 간식으로 과자나 빵 대신 신선한 과일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식약처는 염도가 덜하고 덜 단 가공식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41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장마·혹서 대비···취약층 각별 관리" 02:17
- 추서 예우 현실화···유족급여 인상 01:55
- 이 대통령, UAE·뉴질랜드와 첫 정상 통화 00:39
- 트럼프, 국가별 관세율 주중 결정···쌀 문제 일본 압박 02:14
- 6월 수출, 플러스 전환···반도체 사상 최대 실적 01:31
- 정부조직 개편 속도···'찾아가는 모두의 버스' 출발 01:52
- 폭우와 폭염 오가는 '도깨비 장마'···안전 대비 필수 02:44
- 밤낮 없는 무더위···온열질환 예방법은? [뉴스의 맥] 03:26
- '3단계 DSR' 시행···1억 원까지 예금 보호 02:34
- 못 받은 양육비 정부가 선지급···안정적 양육환경 기대 01:57
- 연예인 등 질병으로 군 면제 시 3년간 추적 관찰 02:06
- "인테리어 계약 후 연락 두절"···용역 중개 플랫폼 피해 증가 02:29
- 나트륨 섭취 줄었지만···여전히 WHO 기준 1.6배 02:14
- 이 대통령, 3일 비교섭단체 5당 대표와 오찬 00:36
- 김혜경 여사, 여성 기업인 만나 격려···"위기 극복 앞장서주길" 00:32
- 작년 HIV 신규 감염 975명···전년 대비 3% 감소 00:31
- 휴대전화 개통 시 모바일 신분증 이용 확대 00:58
- 숨은보험금 11조 2천억 원을 찾아가세요 00:49
- 이번 여름엔 '한국관광 100선'으로 떠나요 00:47
- 우리 동네 문화 매력, 대한민국 대표하는 지역문화 '로컬100'으로 알리자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