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베이비부머 '은퇴 본격화'…노후 준비는?
등록일 : 2012.07.06
미니플레이

고도성장을 주도해 온 세대, ‘베이비부머’들이 하나 둘 경제의 최일선에서 떠나고 있습니다.

올해만 47만 명이 퇴직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노후준비가 제대로 된 퇴직자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의 실태를 송보명 기자가 보도합니다.

산업화 시대의 역군.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민주화를 이끌어낸 세대, 바로 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인데요, 베이비부머는 지난 2010년 기준으로 71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 가까이 되며 이들 중 임금근로자는 약 30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베이비부머 상당수는 은퇴했고, 앞으로 5~10년 사이 본격적인 '집단 퇴장'이 이어질 전망이지만, 수명 연장으로 은퇴 후에도 40년 이상 사회생활을 해야 하고, 그만큼 경제적인 압박을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대기업에서 일하는 김모씨는 올해 말 명예퇴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김○○ / 은퇴예정자

“회사에서도 퇴직압박이 심하고 그래서 명예퇴직을 결심하게 됐는데, 연금이 나오려면 6년 정도 기다려야 되고…집에서도 그렇고 미래가 막막합니다.”

당분간은 퇴직금으로 어떻게든 해보겠지만 자식들 뒷바라지도 아직 남은 상태에서 국민연금 100여만 원으로 어떻게 생활할지 막막하기만 한 겁니다.

직장인의 평균 퇴직연령은 55살.

가장 기본적인 노후대책인 연금은 얼마나 들었을까요?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만 든 경우가 27% 정도였고요,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에 가입한 경우까지 포함해도 78%에 그쳐 나머지 22%, 즉 156만 명은 아무런 연금에 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면 은퇴 후 여생을 사는데 필요한 최소자금은 얼마일까요?

일반적으로 부부 한쌍 당 3억 6천만원 정도가 필요한데, 문제는 평균 자산이 3억 4천만 원 정도밖에 안된다는 겁니다.

이마저도 대부분은 살고 있는 집 등 부동산이고 현금 같은 금융자산은 5천여 만원에 불과합니다.

이러다 보니 뭐라도 해서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베이비부머들이 대다수입니다.

건설회사에 다니는 오혁진씨는 은퇴를 앞두고 창업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창업 아이템을 놓고 고민 중인 오씨는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SNS 교육까지 받고 있습니다.

오혁진 (52세) / 예비창업자

“인터넷을 통해서 강의를 하는 부분, 또 하나는 미국에서 기능성 스포츠용품, 운동화라든가 몇 가지 것들을 국내에 도입해서 그것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서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50대 이상 중장년층 자영업자는 지난달 말 현재 31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칩니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음식점이나 편의점, 택시운전 등 이른바 생계형 창업에 몰리고 있습니다.

생계형 창업은 경기 변화에 민감하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오히려 빚더미에 올라앉기 십상입니다.

김동건 매니저 / 노원 비즈플라자

“진입장벽이 낮고 초기 투자금이 적게 드는 분야 창업이 많지만 제대로 된 직업훈련이나 창업교육을 받지 않으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이처럼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감, 상실감 등으로 고통 받는 베이비부머들은 결국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하는데요,

한경혜 교수 /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끼어있는 세대, 아무런 준비없이 은퇴 후를 맞이 해야하다 보니 베이비붐 세대들이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베이비부머 은퇴자에 대한 대책이 제대로 수립되지 않을 경우 3~4년 안에 심각한 사회문제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KTV 송보명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