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위성 영상' 활용···산불 피해 신속 복구 지원
등록일 : 2025.04.16 12:11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난달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복구를 위해 국토 위성을 활용한 긴급 공간 정보 제공에 나섰습니다.
김현지 앵커>
접근이 어려운 재난 피해 지역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해 신속한 복구에 활용되고 있는데요.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달 시뻘건 불기둥을 품은 화마가 덮친 경북 의성과 안동.
경북뿐 아니라 경남 산청과 울산 울주 등 전국에 동시다발로 번진 산불로 잿더미가 된 피해 면적은 서울 면적의 약 80%에 이릅니다.
특히 이번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본 곳은 산림 지역으로 다가오는 여름 장마를 대비해 복구가 시급하지만 피해 면적이 광범위해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이 우리 기술로 쏘아 올린 국토위성 1호를 활용한 지원에 나섰습니다.
국토위성을 통해 확보된 0.5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긴급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겁니다.
국토위성으로 촬영한 영상뿐 아니라 해외 위성 영상과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등이 포함된 정보를 해당 지자체와 산림청에 보내 피해 규모를 과학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녹취> 안종태 / 국토정보지리원 국토위성센터장
"위성 영상의 수치 지형도, 행정 경계 항공 사진 등을 총집해서 융복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돼 현장 대응과 복구 계획 수립에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에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해당 구역의 다양한 공간 정보도 포함됐는데, 과거의 산불이나 산사태, 침수 등 재난 이력과 지형적인 특성도 담겼습니다.
이 같은 긴급 공간 정보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재난 지역에서도 활용됐습니다.
지난 2023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 구호 현장과 지난달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의 구조 작업에도 쓰인 바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중 국토 위성 2호를 추가로 발사할 계획인 가운데 재난 발생 시 긴급 공간정보가 신속히 활용될 수 있도록 사용법 등을 국토위성센터 누리집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KTV 이리나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난달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복구를 위해 국토 위성을 활용한 긴급 공간 정보 제공에 나섰습니다.
김현지 앵커>
접근이 어려운 재난 피해 지역의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해 신속한 복구에 활용되고 있는데요.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달 시뻘건 불기둥을 품은 화마가 덮친 경북 의성과 안동.
경북뿐 아니라 경남 산청과 울산 울주 등 전국에 동시다발로 번진 산불로 잿더미가 된 피해 면적은 서울 면적의 약 80%에 이릅니다.
특히 이번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본 곳은 산림 지역으로 다가오는 여름 장마를 대비해 복구가 시급하지만 피해 면적이 광범위해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이 우리 기술로 쏘아 올린 국토위성 1호를 활용한 지원에 나섰습니다.
국토위성을 통해 확보된 0.5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긴급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겁니다.
국토위성으로 촬영한 영상뿐 아니라 해외 위성 영상과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등이 포함된 정보를 해당 지자체와 산림청에 보내 피해 규모를 과학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녹취> 안종태 / 국토정보지리원 국토위성센터장
"위성 영상의 수치 지형도, 행정 경계 항공 사진 등을 총집해서 융복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돼 현장 대응과 복구 계획 수립에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에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해당 구역의 다양한 공간 정보도 포함됐는데, 과거의 산불이나 산사태, 침수 등 재난 이력과 지형적인 특성도 담겼습니다.
이 같은 긴급 공간 정보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재난 지역에서도 활용됐습니다.
지난 2023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 구호 현장과 지난달 미얀마 지진 피해 지역의 구조 작업에도 쓰인 바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중 국토 위성 2호를 추가로 발사할 계획인 가운데 재난 발생 시 긴급 공간정보가 신속히 활용될 수 있도록 사용법 등을 국토위성센터 누리집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782회) 클립영상
- 미, 중국 외 관세 협상 본격화···"곧 발표" 02:01
-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결 위해 적극 교섭" 01:41
- 필수 추경 12조 원 편성···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도입 02:12
- 연금개혁 범부처 지원 TF···"구조개혁 이어져야" 01:55
- '국토위성 영상' 활용···산불 피해 신속 복구 지원 02:25
- 2025 소비재·서비스 수출대전···K-뷰티·음식 판로 개척 02:40
- 2028 수능 예상문항 공개···'9모' 대신 '8모'로 02:05
- 3월 수입물가 0.4%↓···국제유가 하락 영향 00:30
- 오늘의 날씨 (25. 04. 16. 10시) 01:10
- 미 관세 최대한 협상···자동차 긴급대책 적극 이행 22:29
- 우크라 시민, 트럼프 발언에 반발 [월드 투데이] 05:16
- 미국, 자동차 25% 관세 부과···긴급 대책 마련 18:31
- 농작물 산불 피해 신고의 98.8% 조사 완료···"보험금 지급 신속 진행" [정책 바로보기]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