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제정
등록일 : 2006.05.25
미니플레이
핵가족화 등으로 최근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복지시설이 단순한 수용시설을 넘어서 또 하나의 `가정`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과제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시설 생활 노인 인권선언`을 발표했습니다.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한 노인요양시설.
흥겨운 음악에 맞춰 악기를 흔드는 노인들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합니다.
미술 치료시간엔 어린 시절 즐겨하던 색칠 놀이에 푹 빠져듭니다.
이 시설은 노인들이 내 집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식사부터 잠자리, 물리치료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처럼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이 보다 질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이른바 ‘시설 생활 노인 인권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존엄한 대우를 받을 권리, 사생활이 보장될 권리, 신체적 제한을 받지 않을 권리 등 11가지 권리가 포함됩니다.
현행 노인복지법에 학대예방 조치 등은 마련돼 있지만 구체적인 인권보호에 대한 조항은 없는 터여서 이번 권리 선언이 가지는 의미가 큽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권리 선언이 실제 생활 속에서 지켜질 수 있도록, 시설 종사자가 준수해야 할 윤리 강령도 제정했습니다.
이번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선언은 노인들이 안정되고 건강한 생활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복지시설이 단순한 수용시설을 넘어서 또 하나의 `가정`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과제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시설 생활 노인 인권선언`을 발표했습니다.
경기도 군포에 위치한 한 노인요양시설.
흥겨운 음악에 맞춰 악기를 흔드는 노인들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합니다.
미술 치료시간엔 어린 시절 즐겨하던 색칠 놀이에 푹 빠져듭니다.
이 시설은 노인들이 내 집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식사부터 잠자리, 물리치료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처럼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이 보다 질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이른바 ‘시설 생활 노인 인권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존엄한 대우를 받을 권리, 사생활이 보장될 권리, 신체적 제한을 받지 않을 권리 등 11가지 권리가 포함됩니다.
현행 노인복지법에 학대예방 조치 등은 마련돼 있지만 구체적인 인권보호에 대한 조항은 없는 터여서 이번 권리 선언이 가지는 의미가 큽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권리 선언이 실제 생활 속에서 지켜질 수 있도록, 시설 종사자가 준수해야 할 윤리 강령도 제정했습니다.
이번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선언은 노인들이 안정되고 건강한 생활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01회) 클립영상
- 청와대, 주민한마당, 결혼이민자 가정 방문 47:49
- 투자자·정부소송제,투자자보호 47:49
- 고령화사회 진입 가속화 47:49
- 우리 영해에 8번째 광구 생긴다 47:49
- 유아-여성 중고령자 협력망 구축 사업 47:49
- 사교육비 경감위해 방과후 학교 적극추진 47:49
- 농어업인 삶의질 향상 계획 발표 47:49
- UN 등 고위 관계자 농촌 방문 전자정부 성과 견학 47:49
-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제정 47:49
- 문제는 국민주거복지다 47:49
- 다음 달부터 등기부에 실거래가 기재 47:49
- 부동산 과세강화, 전체가구의 1.6%만 부담 47:49
- 헌법재판소 `종부세법 권한쟁의` 각하 47:49
- 다양한 경제정책 차질없이 추진중 47:49
- 내일신문 분양원가 공개 보도 관련 건교부 입장 47:49
- 서울신문 상생협력 보도 관련 산자부 입장 47:49
- 부재자 투표 실시, 독도에서도 투표 47:49
- 순간포착- 월드컵 축구대표팀의 부재자 투표 47:49
- 한·중 마약밀수 차단 `핫라인` 가동 47:49
- 사이버전 수행 능력과 방어능력 집중 육성해야 4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