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노사관계 경쟁력 선도
등록일 : 2006.05.19
미니플레이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가 합리적이고 바람직한 노사관계 형성의 밑거름이 되는데요, 공기업 최고경영자들이 한자리에 모여노사관계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WEF, 즉 세계경제포럼의 평가에 따르면 2005년 우리나라의 노사관계 경쟁력은 117개국 중 81위로 세계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노사관계 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공공 부문의 합리적 노사관계 형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공기업 최고경영자 연찬회가 열렸습니다.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공기업 CEO들에게 노사갈등 요인을 충분한 대화와 설득을 통해 풀어갈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선진국의 경우 공공부문의 노사관계 합리화가 노사정책의 핵심이 되고 있다면서, 공공부문 노사관계가 민간기업을 선도하는 모범사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장관은 공무원 노조 허용으로 공공부문 노사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하고, 공공부문 노사갈등은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불편을 주기 때문에 노사관계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과 관련해 대기업 정규직 부문은 유연성을, 중소기업 비정규직은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노동시장 경직성 해소에 대기업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연찬회에서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에 대한 정책방향과 공공부문 혁신성과를 위한 과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WEF, 즉 세계경제포럼의 평가에 따르면 2005년 우리나라의 노사관계 경쟁력은 117개국 중 81위로 세계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노사관계 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공공 부문의 합리적 노사관계 형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공기업 최고경영자 연찬회가 열렸습니다.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공기업 CEO들에게 노사갈등 요인을 충분한 대화와 설득을 통해 풀어갈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선진국의 경우 공공부문의 노사관계 합리화가 노사정책의 핵심이 되고 있다면서, 공공부문 노사관계가 민간기업을 선도하는 모범사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장관은 공무원 노조 허용으로 공공부문 노사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하고, 공공부문 노사갈등은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불편을 주기 때문에 노사관계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과 관련해 대기업 정규직 부문은 유연성을, 중소기업 비정규직은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노동시장 경직성 해소에 대기업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연찬회에서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에 대한 정책방향과 공공부문 혁신성과를 위한 과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97회) 클립영상
- 내달부터 공공승용차 요일제 50:24
- ‘고유가 극복 5대 실천 전략’ 추진 50:24
- `<가계소득>` 늘린다 50:24
- ‘농업 경영체 활성화’ 대책 마련 50:24
- 은행장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 둔화될 듯” 50:24
- 에너지 강제절약 시행 50:24
- “ 한미 FTA, 한국 경제 위한 선택” 50:24
- 원정시위 국가이미지 부른다 50:24
- 창조적인 재능, 아름다운 마음 50:24
- 공공부문, 노사관계 경쟁력 선도 50:24
- 동아일보 월드컵태클 보도 관련 국정홍보처,문광부 입장 50:24
- 한겨레 외환자유화 보도 관련 재경부 입장 50:24
- 중앙일보 입학기준일 보도 관련 교육부 입장 50:24
- 소방방재청 브리핑 5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