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학교`등 교육복지 확대
등록일 : 2006.05.11
미니플레이
교육은 국민의 의무이자 권리입니다.
기회가 가장 공평하게 주어져야 할 부분도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양극화가 확대되면서 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닙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수입이 200만원 이하인 가정의 수험생은 287.6점, 500만원이 넘는 가정은 317.6점.
지난 2004년 수학능력시험 결과를 가계 소득과 비교해 분석한 결과입니다.
소득에 따라 점수가 30점이나 차이가 나는 것,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습니다.
수입의 양극화로 인한 교육격차가 공정한 계층상승의 통로로 인식되던 교육 분야마저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악순환을 방지하고 가난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 교육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시 저소득층의 교육과 문화, 복지 향상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확대하고 방과 후 학교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의 청소년들을 위해 방과 후 아카데미와 청소년 공부방을 확대하는 한편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지원센터도 늘릴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09년까지 모든 장애학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학교를 늘리고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교육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교육격차위원회를 구성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안전망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습니다.
기회가 가장 공평하게 주어져야 할 부분도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양극화가 확대되면서 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닙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수입이 200만원 이하인 가정의 수험생은 287.6점, 500만원이 넘는 가정은 317.6점.
지난 2004년 수학능력시험 결과를 가계 소득과 비교해 분석한 결과입니다.
소득에 따라 점수가 30점이나 차이가 나는 것,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습니다.
수입의 양극화로 인한 교육격차가 공정한 계층상승의 통로로 인식되던 교육 분야마저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악순환을 방지하고 가난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 교육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도시 저소득층의 교육과 문화, 복지 향상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을 확대하고 방과 후 학교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저소득층이나 맞벌이 가정의 청소년들을 위해 방과 후 아카데미와 청소년 공부방을 확대하는 한편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지원센터도 늘릴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09년까지 모든 장애학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학교를 늘리고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교육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교육격차위원회를 구성하고 보다 체계적인 교육안전망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91회) 클립영상
- 한명숙 총리, 한미 FTA 국민 의견 수렴 50:1
- 한명숙 총리, 12일 평택 관련 대국민 담화 발표 50:1
- `방과후 학교`등 교육복지 확대 50:1
- 한국은행, 콜금리 4% 유지 50:1
- 실업률 낮아졌다 50:1
- 박병원 차관 “원화절상 될 만큼 됐다” 50:1
- 국세청, 부동산중개업자 1만명 일제 점검 50:1
- 아제르바이잔 자원외교 돌입 50:1
- 20억 배럴 카스피해 유전 개발 50:1
- “자원”보고, 아제르바이잔 50:1
- 노무현 대통령, 아제르바이잔 방문 현지언론 반응 50:1
- IMD, 순위 변동폭 너무 커 50:1
- IMD, 정부혁신 성과 빠져 50:1
- `노인 그룹홈`에서 치매 치료 50:1
- `장수차량` 크게 늘어 50:1
- 과기부, “채용목표제”평가에 반영 50:1
- 공공기관 퇴직인력도 中企 자문 나서 50:1
- 내시경 수술 치료재료도 보험 적용 50:1
- 독일 월드컵 엔트리 발표 50:1
- 월드컵 출전선수 23명 발표 후 현지 반응 50:1
- 조선일보 아파트 분양가 상승 보도 관련 건교부 입장 50:1
- 조선, 동아 1/4분기 가계수지 동향 보도 관련 재경부 입장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