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상승 경실련 발표는 표본조사에 문제있어
등록일 : 2006.04.25
미니플레이
참여정부 출범이후 땅값이 무려 1,153조 올랐다는 경실련의 발표에 대해서 대다수 언론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같은 기간 땅값은 631조원이 상승하는데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25일자 국민일보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발표한 부동산값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정부 출범 후 땅값이 1,153조원 올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경실련의 자료를 인용해 2005년 1월 지가총액은 5,195조원이며 해방 이후부터 2000년까지 2,700조원이었던 땅값이 5년 만에 두 배 가량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건교부는 이 같은 보도의 기초자료가 됐던 경실련이 발표한 자료에 표본조사상의 문제점이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첫 번째 문제는 지가총액. 경실련이 주장한 5,195조원이란 수치가 잘 못 산정됐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1,153조원. 경실련은 자체 산정한 2005년 지가총액에서 2003년 지가총액을 빼 참여정부 출범 후 땅값이 1,153조원 상승했다고 밝혔으나, 과다 산정된 지가가 원인이 된 잘 못 산정된 수치라는 것입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의 문제점, 무엇이 문제인가 한 번 고민해 봐야할 문제입니다.
25일자 국민일보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발표한 부동산값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정부 출범 후 땅값이 1,153조원 올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경실련의 자료를 인용해 2005년 1월 지가총액은 5,195조원이며 해방 이후부터 2000년까지 2,700조원이었던 땅값이 5년 만에 두 배 가량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건교부는 이 같은 보도의 기초자료가 됐던 경실련이 발표한 자료에 표본조사상의 문제점이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첫 번째 문제는 지가총액. 경실련이 주장한 5,195조원이란 수치가 잘 못 산정됐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문제는 1,153조원. 경실련은 자체 산정한 2005년 지가총액에서 2003년 지가총액을 빼 참여정부 출범 후 땅값이 1,153조원 상승했다고 밝혔으나, 과다 산정된 지가가 원인이 된 잘 못 산정된 수치라는 것입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의 문제점, 무엇이 문제인가 한 번 고민해 봐야할 문제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80회) 클립영상
- 노무현 대통령, 독도문제 정면 대응 50:25
- `조용한 외교` 전면 재검토 50:25
- ‘독도는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땅‘ 50:25
- 독도담화발표에 대한 일본현지 반응 50:25
- 한국해양연구원, 독도 해양생태계 조사 착수 50:25
- 한명숙 총리, “성과보다 합의 과정 중요” 50:25
- “정책 합의도출 노력” 강조 50:25
- 암 환자 사망률 10년내 20%로 낮춘다 50:25
- 주거복지정책, 수요예측 중심으로 정책 전환 필요 50:25
- 1분기 GDP 1.3% 상승 50:25
- 무디스, 한국 국가 신용등급 전망 상향 조정 50:25
- 중고차 매입시 사고유무 확인가능 50:25
- 오는 27일 휴면계좌 통합 조회 서비스 개시 50:25
- 부처의견과 IP는 전혀 상관관계 없어 50:25
- 시장점유율 조정 확정된 바 없어 50:25
- 땅값 상승 경실련 발표는 표본조사에 문제있어 50:25
- 개인정보보호 정책 역점 추진 50:25
- “경쟁 저해 행위 법 집행 강화” 50:25
- 지난해 정부위원회 여성참여율 `목표 미달` 50:25
- 노동시장의 양극화 해소위해 유연안정성 동시추구해야 50:25
- 어린이 주간, 특별 안전대책 추진 50:25
- “한국의 국제적 기여 부족, 해결할 문제” 50:25
- 법무부 현판식 거행 5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