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책임총리제’ 유지
등록일 : 2006.04.24
미니플레이
노무현 대통령은 한명숙 총리에게도 ‘책임총리’를 맡기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대통령은 일처리 시스템의 합리적 조직과 제도, 혁신에 대해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한명숙 신임 총리와의 역할분담에 대해 이해찬 전 총리 시절과 같은 원리로 `책임총리제`를 계속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노 대통령은 22일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국무위원 재원배분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외교·안보 집행과정은 대통령이 관장하고, 기관들의 재원 관리와 인적자원 배분은 총리와 협의해 처리하겠다면서 이런 기조 위에서 국정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또 대통령의 직접적인 관심은 일하는 제도와 문화라며 국무회의에 참석해도 대통령은 제도와 혁신에 관한 문제에 집중하고 정책문제는 총리가 주재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책임총리제의 정착을 위해 기존과 같이 청와대 참모진들이 직접 총리를 보좌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노 대통령은 국민부담은 늘리지 않고 지출 분야를 최대한 구조조정해 복지 예산과 미래대비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다만 행정서비스 수준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는 만큼 적절하고 균형잡힌 예산을 편성하는 것이 과제라며 지출 구조조정을 조화롭게 풀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함께 예산을 거시적으로 보고 합리적으로 운영해, 미래사회에 대비하고, 사회발전을 위해 과감한 양보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2일과 23일 이틀간 진행된 ‘국무위원 재원배분 회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중기재정계획을 비롯해, 사회, 경제, 국가 안전 분야 등 모두 4가지 부문별 예산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가 집중 논의됐습니다.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번 회의가 결론을 내는 회의는 아니지만 원칙과 기조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며, 한국의 미래와 장래에 대해 걱정하고 미래비젼을 제시하는 재정전략 회의였다고 밝혔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한명숙 신임 총리와의 역할분담에 대해 이해찬 전 총리 시절과 같은 원리로 `책임총리제`를 계속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노 대통령은 22일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국무위원 재원배분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외교·안보 집행과정은 대통령이 관장하고, 기관들의 재원 관리와 인적자원 배분은 총리와 협의해 처리하겠다면서 이런 기조 위에서 국정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또 대통령의 직접적인 관심은 일하는 제도와 문화라며 국무회의에 참석해도 대통령은 제도와 혁신에 관한 문제에 집중하고 정책문제는 총리가 주재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책임총리제의 정착을 위해 기존과 같이 청와대 참모진들이 직접 총리를 보좌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노 대통령은 국민부담은 늘리지 않고 지출 분야를 최대한 구조조정해 복지 예산과 미래대비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다만 행정서비스 수준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는 만큼 적절하고 균형잡힌 예산을 편성하는 것이 과제라며 지출 구조조정을 조화롭게 풀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함께 예산을 거시적으로 보고 합리적으로 운영해, 미래사회에 대비하고, 사회발전을 위해 과감한 양보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2일과 23일 이틀간 진행된 ‘국무위원 재원배분 회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중기재정계획을 비롯해, 사회, 경제, 국가 안전 분야 등 모두 4가지 부문별 예산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가 집중 논의됐습니다.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번 회의가 결론을 내는 회의는 아니지만 원칙과 기조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졌다며, 한국의 미래와 장래에 대해 걱정하고 미래비젼을 제시하는 재정전략 회의였다고 밝혔습니다.
출발! 국정투데이 (79회) 클립영상
- 독도주변수로측량 관련회의 타결 37:18
- 한.일 5월중 EEZ 경계획정 교섭재개 37:18
- ‘독도는 우리땅’ 초중고 특별수업 37:18
- 노무현 대통령, ‘책임총리제’ 유지 37:18
- “납북자 해결과정에서 장기수 송환용의` 37:18
- 새만금 끝막이 성공 현장 37:18
- 교통법규위반시 보험료 최고 20% 할증 37:18
- 전국 황사주의보 호흡기질환 주의 37:18
- 부담금 부과, 일부 분양가 상승 가능성 인정 37:18
- ‘불임부부 지원사업’에 대해서 37:18
- 외국인 근로자 피해신고센터 개소 37:18
- 생활정책 Q&A - 고유가 시대 경차의 매력 37:18
- 순간포착 3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