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취약계층 주거 안정 지원
등록일 : 2006.03.30
미니플레이
정부는 서민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영세민 전세자금 지원 확대와 아파트 분양가 인하를 유도하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난해 시작한 전세임대주택 사업.
이 사업을 통해 지난 한 해 총 503가구가 따뜻한 보금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이 같은 혜택을 받는 저소득층과 사회취약계층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전세 임대주택을 매년 4천5백호씩 공급할 계획입니다.
장애인과 미혼모 등 특수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가구 매입임대주택도 매년 4천 5백가구씩 공급됩니다.
지역별 전세보증금의 70% 범위 내에서 연리2%로 지원되는 영세민 전세자금의 수혜 대상도 지난해 1만 9천명 수준에서 연간 최대 3만명 수준으로 확대됩니다.
무주택 서민과 중산층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한 정책도 마련됐습니다.
택지 조성원가와 공급가격을 낮춰 아파트 분양가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밖에도 2012년까지 소형과 중대형 주택을 각각 75만호와 4만호씩 비축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난해 시작한 전세임대주택 사업.
이 사업을 통해 지난 한 해 총 503가구가 따뜻한 보금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이 같은 혜택을 받는 저소득층과 사회취약계층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전세 임대주택을 매년 4천5백호씩 공급할 계획입니다.
장애인과 미혼모 등 특수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가구 매입임대주택도 매년 4천 5백가구씩 공급됩니다.
지역별 전세보증금의 70% 범위 내에서 연리2%로 지원되는 영세민 전세자금의 수혜 대상도 지난해 1만 9천명 수준에서 연간 최대 3만명 수준으로 확대됩니다.
무주택 서민과 중산층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한 정책도 마련됐습니다.
택지 조성원가와 공급가격을 낮춰 아파트 분양가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밖에도 2012년까지 소형과 중대형 주택을 각각 75만호와 4만호씩 비축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62회) 클립영상
- `8.31 무용론` 더 나오지 않을 것 52:12
- 재건축 초과이익 철저히 환수 52:12
- 6억 넘는 아파트 대출로 못산다 52:12
- 저소득·취약계층 주거 안정 지원 52:12
- 연평균 30만 가구 이상 주택 공급 52:12
- 대체부동산 취.등록세 면제 거주주변지역으로 축소 52:12
- 불합리한 부동산 제도 개선 기대 52:12
- 8.31 부동산 후속대책 내용 52:12
- 日 교과서 독도 영유권 주장 용납 못해 52:12
- 자유무역지역, `개방화된 경제모델로` 52:12
- 인천공항,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성장 52:12
- 정부, 줄기세포 연구 본격 추진 52:12
- 순간포착 52:12
- 수능 모든 영역 쉽게 출제 52:12
- 우리 농업의 살 길은? 52:12
- 농업 경쟁력 어디부터 갖출까 5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