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지역·소득 격차 계층 양극화로 이어져
등록일 : 2006.03.23
미니플레이
양극화 실태 점검 3월 23일은 교육 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에 따라서 아이들이 받는 교육의 수준이 결정되고 있는 이른바 교육의 양극화 현상을 취재했습니다.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한 한 공부방.

학교 수업이 끝난 아이들이 하나 둘씩 이 곳으로 와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시작합니다.

동영상을 본 후 혼자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선생님들에게 물어봅니다.

이 곳 공부방에서는 세 명의 자원봉사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학습을 돕고 있습니다.

이 공부방에 오는 학생들의 40%는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의 자녀입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 수준이 자녀의 교육 기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얼마 전 2006년 서울대 입학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강남 지역 출신 학생의 비율이 강북에 비해 최대 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입학생 숫자를 각 구별로 따져보면 강남구가 가장 많았고 종로구, 광진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특목고 출신을 제외하면 단연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으로 8학군이 강세를 띱니다.

최 하위구와는 최대 16배 차이가 납니다.

서울대 측은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보면 8학군 지역 학생들의 입학 비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수치는 매우 미미합니다.

과거 60~70년대에는 학교 수업만 제대로 받으면 집안 사정이 어려워도 얼마든지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이 공교육을 대신하는 부분이 늘어나면서 사교육을 시킬 수 있는 고소득층의 자녀들의 명문대 입학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런 교육의 양극화 현상이 다시 소득의 격차로 이어지면서 계층의 양극화를 고착 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