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득 격차 계층 양극화로 이어져
등록일 : 2006.03.23
미니플레이
양극화 실태 점검 3월 23일은 교육 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에 따라서 아이들이 받는 교육의 수준이 결정되고 있는 이른바 교육의 양극화 현상을 취재했습니다.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한 한 공부방.
학교 수업이 끝난 아이들이 하나 둘씩 이 곳으로 와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시작합니다.
동영상을 본 후 혼자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선생님들에게 물어봅니다.
이 곳 공부방에서는 세 명의 자원봉사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학습을 돕고 있습니다.
이 공부방에 오는 학생들의 40%는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의 자녀입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 수준이 자녀의 교육 기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얼마 전 2006년 서울대 입학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강남 지역 출신 학생의 비율이 강북에 비해 최대 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입학생 숫자를 각 구별로 따져보면 강남구가 가장 많았고 종로구, 광진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특목고 출신을 제외하면 단연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으로 8학군이 강세를 띱니다.
최 하위구와는 최대 16배 차이가 납니다.
서울대 측은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보면 8학군 지역 학생들의 입학 비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수치는 매우 미미합니다.
과거 60~70년대에는 학교 수업만 제대로 받으면 집안 사정이 어려워도 얼마든지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이 공교육을 대신하는 부분이 늘어나면서 사교육을 시킬 수 있는 고소득층의 자녀들의 명문대 입학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런 교육의 양극화 현상이 다시 소득의 격차로 이어지면서 계층의 양극화를 고착 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에 따라서 아이들이 받는 교육의 수준이 결정되고 있는 이른바 교육의 양극화 현상을 취재했습니다.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한 한 공부방.
학교 수업이 끝난 아이들이 하나 둘씩 이 곳으로 와 동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시작합니다.
동영상을 본 후 혼자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선생님들에게 물어봅니다.
이 곳 공부방에서는 세 명의 자원봉사 선생님들이 아이들의 학습을 돕고 있습니다.
이 공부방에 오는 학생들의 40%는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의 자녀입니다.
사는 지역과 부모의 소득 수준이 자녀의 교육 기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얼마 전 2006년 서울대 입학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강남 지역 출신 학생의 비율이 강북에 비해 최대 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입학생 숫자를 각 구별로 따져보면 강남구가 가장 많았고 종로구, 광진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특목고 출신을 제외하면 단연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순으로 8학군이 강세를 띱니다.
최 하위구와는 최대 16배 차이가 납니다.
서울대 측은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보면 8학군 지역 학생들의 입학 비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수치는 매우 미미합니다.
과거 60~70년대에는 학교 수업만 제대로 받으면 집안 사정이 어려워도 얼마든지 명문대에 진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이 공교육을 대신하는 부분이 늘어나면서 사교육을 시킬 수 있는 고소득층의 자녀들의 명문대 입학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런 교육의 양극화 현상이 다시 소득의 격차로 이어지면서 계층의 양극화를 고착 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57회) 클립영상
- 양극화 문제, 다함께 풀자 49:11
- 양극화 해소, 세금 더 내라는 말 아니다 49:11
- 부동산 대책, 효과 확신한다 49:11
- 양극화 해소와 동반성장은 같이 가는 것 49:11
- 대통령과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는 특별한 만남 49:11
- 신임 한은총재 이성태 부총재 내정 49:11
- 청렴위, 공직자 직무관련 골프·도박 금지령 49:11
- 법관도 일반공무원 행동강령 적용 49:11
- 수입쌀 관련 농림부 브리핑 49:11
- 교육부, 장애인 지원대학 발표 49:11
- 한국인 1호 우주인 2008년 탄생 49:11
- 기상의 날 기념행사 49:11
- 지역·소득 격차 계층 양극화로 이어져 49:11
- 기초생활보장제 현실화 49:11
- 소방방재청, 재난정보 지식검색서비스 49:11
- 철도·지하철 종합안전심사 첫 실시 49:11
- 한·인도 CEPA협상 개시 49:11
- 개인 자금 운용 규모 크게 늘어 49:11
- 작년 소비자불만품목 1위는 ‘이동전화서비스’ 49:11
- 순간포착 49:11
- 청소년위원회 브리핑 49:11
- 중앙인사위원회 브리핑 4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