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 돌파구는?
등록일 : 2006.03.21
미니플레이
전문 직업인력 양성의 산실이었던 실업계 고등학교가 언제부턴가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이고, 기업들으로부터도 외면당하고 있습니다.
21일 교육인적자원부가 주최한 ‘직업교육 혁신 프로그램’ 발표회에서 이에대한 해결책들이 제시됐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계 고등학교는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 고교 직업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실업고는 97년 이후 입학생이 급격히 감소하고 졸업생들의 능력이 기업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해 산업체의 불신을 받아 왔습니다.
급선무는 지식 정보화 사회라는 사회적 변화에 맞게 실업고의 직업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역사회와 협약을 맺어 재원을 유지하거나 사업현장과의 연계를 통해 교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습니다.
물론 실업고의 경쟁력만을 탓할 순 없습니다.
‘실업고는 소질이나 적성보다 성적이 낮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이 주로 진학하는 곳’이라는 사회적인 인식도 실업고 기피현상을 부추겼습니다.
실업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용순 연구원은 실업고등학교와 기타계 고등학교의 명칭을 `전문고등학교`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시작된 직업교육체제 혁신 프로그램 발표회는 24일까지 천안, 광주, 부산에서 잇따라 열립니다.
21일 교육인적자원부가 주최한 ‘직업교육 혁신 프로그램’ 발표회에서 이에대한 해결책들이 제시됐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계 고등학교는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 고교 직업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실업고는 97년 이후 입학생이 급격히 감소하고 졸업생들의 능력이 기업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해 산업체의 불신을 받아 왔습니다.
급선무는 지식 정보화 사회라는 사회적 변화에 맞게 실업고의 직업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역사회와 협약을 맺어 재원을 유지하거나 사업현장과의 연계를 통해 교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습니다.
물론 실업고의 경쟁력만을 탓할 순 없습니다.
‘실업고는 소질이나 적성보다 성적이 낮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이 주로 진학하는 곳’이라는 사회적인 인식도 실업고 기피현상을 부추겼습니다.
실업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용순 연구원은 실업고등학교와 기타계 고등학교의 명칭을 `전문고등학교`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시작된 직업교육체제 혁신 프로그램 발표회는 24일까지 천안, 광주, 부산에서 잇따라 열립니다.
KTV 국정와이드 (55회) 클립영상
- “5·31선거, 공명선거 정착 계기로” 50:5
-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 서훈 박탈 50:5
- 한-캄보디아 수교 10주년 정상회담 50:5
- 캄보디아 총리 명예박사 수여 50:5
- 차관급 인사 단행 50:5
- 투명사회협약 대국민보고대회 50:5
- 중국 경제의 부상, 위협이자 기회 50:5
- 새만금, 24일 끝막이 본격 개시 50:5
-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 계속돼 50:5
- “中企 정책자금 지원 너무 많고 무분별” 50:5
- 외환증권 투자, 개인에도 전면 허용 50:5
- 감사원, 다음달 ‘갈등·중복사업’ 감사 50:5
- 대기업-NGO 사회적 일자리 만든다 50:5
- ILO 아태총회 준비기획단 사무실 개소 50:5
- 플랜트 산업, 신수출 동력 50:5
- `직업교육` 돌파구는? 50:5
- 판교 신도시 청약 조건 미리 확인 필요 50:5
- 중소기업 어려움 해소 주력해야 50:5
- 한미 FTA - 왜 미국인가 50:5
- 초중고 `사이버 청정 학교` 지정 50:5
- 여성 고용주·전문직 200만명 50:5
- 한·중·일, 헤지펀드 공동 대응방안 논의 50:5
- 제12회 국무회의 브리핑 - 김창호 정부대변인 겸 국정홍보처장 50:5
- 종합유선방송시장 실태조사 결과 - 공정위 브리핑 50:5
- 농림부 브리핑 50:5
- 순간포착 - 예비군 서바이벌 훈련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