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아프리카 3개국 순방위해 출국
등록일 : 2006.03.06
미니플레이
노무현 대통령이 6일 아프리카 3개국 순방길에 오랐습니다.
이번 순방에는 경제인들이 직접 노 대통령과 동행해 아프리카의 에너지, 자원 개발과 경제 협력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이집트와 나이지리아, 알제리 순방을 위해 6일 오전 출국합니다.
첫 방문지로 이집트를 방문하는 노 대통령은 6일 동포 간담회를 시작으로 7일에는 무바라크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이어 8일에는 한-이집트 경제인 오찬 간담회와 아랍 연맹 사무총장과의 면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9일에는 나이지리아에 도착한 뒤 곧바로 동포대표들을 접견합니다.
10일에는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협정서명식에 임석한뒤 한-나이지리아 경제인 오찬 간담회를 가질 계획입니다.
11일에는 작별환담을 한뒤 알제리에 도착해 역시 동포 대표 접견으로 알제리 일정을 시작합니다.
12일에는 부테플리카 알제리 대통령과 확대 정상회담과 단독 정상회담을 연달아 가진 뒤 양국경제인 포럼에서 연설 할 예정입니다.
또 알제대학 명예박사학위 수여식도 참석합니다.
마지막 날인 13일에는 상, 하원 의장을 접견한 뒤 알제리를 출발해 14일 서울에 도착합니다.
노 대통령의 이집트와 알제리는 방문은 우리 대통령으로서는 첫 방문이며, 나이지리아도 1982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방문 이후 24년만에 이뤄지는 것으로 아랍과 아프리카 국가와의 외교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노 대통령의 이번 순방은 에너지 자원 외교와 아랍, 아프리카 신규시장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아프리카 신흥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와 알제리, 이집트 모두 원유 생산국이고 최근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에너지와 자원 수급선을 다변화 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 3나라 모두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 공유와 경제 개발 협력 확대를 적극 희망하고 있어 마지막 남은 시장인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공략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이번 노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에는 이례적으로 경제4단체장이 대통령 특별 전세기에 동행해 눈길을 끕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이들 구간에 직항 노선이 없기 때문에 동행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는데, 대통령 특별 전세기에 경제인들이 동행한 것은 김영삼 대통령 이후 처음이어서 노 대통령이 기내에서 이들 경제인들과 어떤 대화를 나눌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순방에는 경제인들이 직접 노 대통령과 동행해 아프리카의 에너지, 자원 개발과 경제 협력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이집트와 나이지리아, 알제리 순방을 위해 6일 오전 출국합니다.
첫 방문지로 이집트를 방문하는 노 대통령은 6일 동포 간담회를 시작으로 7일에는 무바라크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이어 8일에는 한-이집트 경제인 오찬 간담회와 아랍 연맹 사무총장과의 면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9일에는 나이지리아에 도착한 뒤 곧바로 동포대표들을 접견합니다.
10일에는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협정서명식에 임석한뒤 한-나이지리아 경제인 오찬 간담회를 가질 계획입니다.
11일에는 작별환담을 한뒤 알제리에 도착해 역시 동포 대표 접견으로 알제리 일정을 시작합니다.
12일에는 부테플리카 알제리 대통령과 확대 정상회담과 단독 정상회담을 연달아 가진 뒤 양국경제인 포럼에서 연설 할 예정입니다.
또 알제대학 명예박사학위 수여식도 참석합니다.
마지막 날인 13일에는 상, 하원 의장을 접견한 뒤 알제리를 출발해 14일 서울에 도착합니다.
노 대통령의 이집트와 알제리는 방문은 우리 대통령으로서는 첫 방문이며, 나이지리아도 1982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방문 이후 24년만에 이뤄지는 것으로 아랍과 아프리카 국가와의 외교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노 대통령의 이번 순방은 에너지 자원 외교와 아랍, 아프리카 신규시장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아프리카 신흥 산유국인 나이지리아와 알제리, 이집트 모두 원유 생산국이고 최근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에너지와 자원 수급선을 다변화 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 3나라 모두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 공유와 경제 개발 협력 확대를 적극 희망하고 있어 마지막 남은 시장인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공략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이번 노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에는 이례적으로 경제4단체장이 대통령 특별 전세기에 동행해 눈길을 끕니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이들 구간에 직항 노선이 없기 때문에 동행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는데, 대통령 특별 전세기에 경제인들이 동행한 것은 김영삼 대통령 이후 처음이어서 노 대통령이 기내에서 이들 경제인들과 어떤 대화를 나눌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출발! 국정투데이 (44회) 클립영상
- 노무현 대통령, 아프리카 3개국 순방위해 출국 36:35
- 시험관 아기 시술비 최대 300만원 지원 36:35
- 도라산역에서 평화의 쌀 축제 열려 36:35
- 방과 후 아카데미 - 김두현 청소년위원회 활동복지단장 36:35
- 식품 원산지 표시품목 6년만에 확대 36:35
- 한미 FTA 1차 예비협의 개최 36:35
- 한미 FTA, 동반성장 전략 구체화 36:35
- FTA `우리경제 한단계 도약 기회“ 36:35
- 마약류 밀수 긴급주의보 발령 36:35
- 직장보육시설 설치 대폭 지원 36:35
- 경기회복 기대감 2분기 고용 개선 36:35
- 2월 전자산업 수출 14.2% 증가 36:35
- 서비스업 생산 3년여 만에 최고치 36:35
- 해외 이민 10년간 꾸준히 감소 36:35
- 생활정책 Q&A - 리콜 좋은걸까? 나쁜걸까? 3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