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0%, 고령화·저출산 문제 심각
등록일 : 2006.02.27
미니플레이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는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여기에 대해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
국민 대다수가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출산’은 국민 10명중 7명이 ‘고령화’는 8명이 심각하다고 답했습니다.
또,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10명 중 9명 정도가 정부가 대응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해결이 가장 많았고 양육지원 확대와 사회적 인프라 구축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아이를 낳아서 기를만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한편 다자녀 가족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국민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다자녀 가족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국민은 15%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문제였습니다.
아이를 낳고는 싶지만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출산을 꺼리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대다수 국민들이 이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여기에 대해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
국민 대다수가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출산’은 국민 10명중 7명이 ‘고령화’는 8명이 심각하다고 답했습니다.
또,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10명 중 9명 정도가 정부가 대응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해결이 가장 많았고 양육지원 확대와 사회적 인프라 구축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아이를 낳아서 기를만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한편 다자녀 가족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국민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다자녀 가족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국민은 15%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문제였습니다.
아이를 낳고는 싶지만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출산을 꺼리는 일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KTV 국정와이드 (40회) 클립영상
- 건설교통부 철도파업 특별대책 발표 50:34
- 국민 80%, 고령화·저출산 문제 심각 50:34
- 이해찬 총리 조찬강연회 50:34
- 경찰 ‘근속승진연한 단축법’ 내달 1일 시행 50:34
- 모범수형자 891명 3·1절 가석방 50:34
- 민관투자협의회-수도권입지, 환경 규제 대폭 개선 50:34
- 1월 경상수지 흑자폭 급감 50:34
- 종합소득 상위 20%가 종소세 90% 납부 50:34
- 소득 중상위층 적자가구 비율증가 50:34
- 조류 인플루엔자 동향 50:34
- 남북화해 현장 개성공단 방문 50:34
- 남북교류협력 추진회의 50:34
- 외교통상부, `실용외교 펼칠 것` 50:34
- 제4차 화상상봉 행사 일정 시작 50:34
- 8.31 정책효력, 안심해도 된다 50:34
- 참여정부 3년 성과와 과제 50:34
- `차세대 짐` 국민연금, 바꿔야한다 50:34
- 국방부, 와이브로 비정규직 노무 관리 강화 50:34
- 정부, 러시아 등서 ‘고려인 실태조사’ 50:34
- 초·중·고교 비정규직 노무 관리 강화 50:34
- 김한영 건설교통부 철도정책팀장 브리핑 50:34
- 김두현 청소년위원회 활동복지단장 브리핑 50:34
- 이종석 통일부 장관 브리핑 5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