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다음세대 짐 지우지 않겠다
등록일 : 2006.02.23
미니플레이
국민연금개혁이 계속 미뤄지면서 재정상태에 대한 불안과 제도에 대한 불신이 점점 커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국민 연금 개혁, 참여 정부 임기안내에 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지 짚어봤습니다.
지난 1988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된 국민연금제도.
소득의 3%만 내면, 20년 후 소득의 70%를 연금으로 주겠다는 ‘저부담 고급여’ 구조로 시작됐습니다.
현재는 소득의 9%를 내고, 60%를 돌려받고 있습니다.
연금이 지금 같은 구조로 계속 집행 되면 오는 2036년에 재정이 적자로 돌아서고 2047년엔 완전히 고갈되게 됩니다.
여기에 급속한 저출산 고령화가 재정의 어려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2004년을 기준으로 1.16명,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보험료를 낼 사람은 줄고 돈을 타 쓰는 노령인구만 급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2047년 이후에도 적립금을 현 수준인 160조원으로 유지하려면 근로자들은 매월 소득의 30-40%를 보험료로 내야합니다.
가히 ‘폭탄’ 수준인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03년 연금 개혁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여야간 이견으로 국회에서 심의도 되지 못한 채 3년 동안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
정부는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 수급체계를 바꾸는 국민연금 개정안을 내 놓고 있습니다.
보험요율은 서서히 낮추고 연금액은 줄여 연금 고갈 시기를 늦추자는 겁니다.
반면 한나라당은 사각 지대의 해소를 위해 기초연금제 도입을 거듭 주장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고 세금만으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하자는 겁니다.
이 처럼 여야간 줄다리기가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 취임한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연내에 반드시 국민연금 개정안을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현재 170만 명 정도인 연금수급자가 2008년 300만 명으로 늘어나면 개혁은 더욱 힘들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내년에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에 참여정부 임기 중 국민연금을 개혁할 기회는 사실상 올해가 마지막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연금역사가 깊은 선진국들도 개혁의 때를 놓쳐 진통을 겪은 경우가 많습니다.
더 이상 정치 논리에 휘둘려 개혁안 처리가 늦어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 부담은 고스란히 우리 국민이 져야하기 때문입니다.
국민 연금 개혁, 참여 정부 임기안내에 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지 짚어봤습니다.
지난 1988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도입된 국민연금제도.
소득의 3%만 내면, 20년 후 소득의 70%를 연금으로 주겠다는 ‘저부담 고급여’ 구조로 시작됐습니다.
현재는 소득의 9%를 내고, 60%를 돌려받고 있습니다.
연금이 지금 같은 구조로 계속 집행 되면 오는 2036년에 재정이 적자로 돌아서고 2047년엔 완전히 고갈되게 됩니다.
여기에 급속한 저출산 고령화가 재정의 어려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2004년을 기준으로 1.16명,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보험료를 낼 사람은 줄고 돈을 타 쓰는 노령인구만 급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2047년 이후에도 적립금을 현 수준인 160조원으로 유지하려면 근로자들은 매월 소득의 30-40%를 보험료로 내야합니다.
가히 ‘폭탄’ 수준인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03년 연금 개혁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여야간 이견으로 국회에서 심의도 되지 못한 채 3년 동안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
정부는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 수급체계를 바꾸는 국민연금 개정안을 내 놓고 있습니다.
보험요율은 서서히 낮추고 연금액은 줄여 연금 고갈 시기를 늦추자는 겁니다.
반면 한나라당은 사각 지대의 해소를 위해 기초연금제 도입을 거듭 주장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고 세금만으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하자는 겁니다.
이 처럼 여야간 줄다리기가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 취임한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연내에 반드시 국민연금 개정안을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현재 170만 명 정도인 연금수급자가 2008년 300만 명으로 늘어나면 개혁은 더욱 힘들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내년에는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기 때문에 참여정부 임기 중 국민연금을 개혁할 기회는 사실상 올해가 마지막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연금역사가 깊은 선진국들도 개혁의 때를 놓쳐 진통을 겪은 경우가 많습니다.
더 이상 정치 논리에 휘둘려 개혁안 처리가 늦어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 부담은 고스란히 우리 국민이 져야하기 때문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38회) 클립영상
- 여성가족부 아동 성범죄 예방대책 발표 50:22
- 한국은행, 불량 새 5천원권 지폐 책임 통감 50:22
- 경제브리핑 50:22
- 소비심리 회복세 뚜렷 50:22
- 예산낭비 시민단체가 나선다. 50:22
- 양극화해소 하나의 대한민국 만들기 50:22
- 국민연금 다음세대 짐 지우지 않겠다 50:22
- 우리아이 교육은 공교육으로 50:22
- 에너지자원 확대 50:22
- 건설교통부, 부실신고 직접 조사, 처리 50:22
- 감사원, 정부산하기관 대대적 감사 50:22
- 공공기관장 공모 제3자 추천 허용 50:22
- 2007 대입전형, 수시 늘고 대학별 전형 달라 50:22
- 고속도로, 국도 건설계획 50:22
- 노동부장관, 민주노총 방문 50:22
- 수출 애로 상시점검체제 강화 50:22
- 공정거래위원회 늦어도 내주초까지 MS에 의결서 전달 50:22
- 여성가족부 아동 성폭력 실태조사 브리핑 50:22
- 적십자회담 - 국군포로, 납북자 이견 50:22
- 남북, 27~28일 철도도로 실무접촉 50:22
- 통일부 정례 브리핑 50:22
- 재정경제부 정례브리핑 5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