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센터부지선정 민주적 해결
등록일 : 2006.02.22
미니플레이
지난 19년 동안 표류해온 원전센터 부지 선정이 민주적으로 해결된 것도 참여정부의 빼놓을 수 없는 성과입니다.
지난 2003년 원전센터 건립 부지로 선정됐지만 주민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던 부안사태.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주민들의 원전센터 건립 반대는 극심했습니다.
지난 1986년부터 원전센터 건설이 추진됐지만 19년 동안 제자리걸음이었습니다.
이에 참여정부는 지난해 특별법을 제정하고 주민의견수렴을 포함한 부지선정 절차와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또 경제적 지원과 더불어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지난해 11월에는, 주민들의 합의를 이끌었습니다.
경주, 군산, 영덕, 포항 4개 지역에서 동시에 실시된 주민 투표.
부지선정 유치과정에선 원전센터가 더 이상 기피의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부지선정위원회도 경주가 무려 89.5%의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는 데 놀랐다는 반응입니다.
원전센터 부지 확정은 특히 주민투표를 통해 결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릅니다.
하지만 히로시마와 체르노빌 사건의 영향으로 여전히 원자력의 안전성을 불신하는 국민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능물질 유출에 대한 불신을 없애고 원전센터 건설과 관리에 있어 국민들에게 안전성을 확신시켜 줄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원전센터 결정 과정은 참여정부의 이름에 걸맞게 실질적인 참여를 국정운영에 도입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지난 2003년 원전센터 건립 부지로 선정됐지만 주민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던 부안사태.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주민들의 원전센터 건립 반대는 극심했습니다.
지난 1986년부터 원전센터 건설이 추진됐지만 19년 동안 제자리걸음이었습니다.
이에 참여정부는 지난해 특별법을 제정하고 주민의견수렴을 포함한 부지선정 절차와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또 경제적 지원과 더불어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지난해 11월에는, 주민들의 합의를 이끌었습니다.
경주, 군산, 영덕, 포항 4개 지역에서 동시에 실시된 주민 투표.
부지선정 유치과정에선 원전센터가 더 이상 기피의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부지선정위원회도 경주가 무려 89.5%의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는 데 놀랐다는 반응입니다.
원전센터 부지 확정은 특히 주민투표를 통해 결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릅니다.
하지만 히로시마와 체르노빌 사건의 영향으로 여전히 원자력의 안전성을 불신하는 국민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능물질 유출에 대한 불신을 없애고 원전센터 건설과 관리에 있어 국민들에게 안전성을 확신시켜 줄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원전센터 결정 과정은 참여정부의 이름에 걸맞게 실질적인 참여를 국정운영에 도입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37회) 클립영상
- 저출산고령화연석회의 위원 간담회 47:32
- 참여정부3주년 기념 심포지엄 47:32
- `깨끗한 정치’ 토대 마련 47:32
- 참여정부3주년 공정거래위 성과 정리 47:32
- ‘軍 의문사진상규명위’ 공식 출범 47:32
- 반부패 청렴대책 행정기관 감사관 회의 47:32
- 경찰청, 국민생활 안전확보 100일 계획 47:32
- 문화소외 시민 지원제도 확충 47:32
- 해양과학기술 10년간 3조 3천억 원 투입 47:32
- 생애 첫 주택대출 요건 강화 47:32
- “전략적 유연성 불리하지 않아” 47:32
- 정부, 조만간 대북 비료지원 개시 47:32
- 농림부 은퇴자마을 조성 유도 착수 47:32
- 박승 총재, `국민 체감 민생경기 바닥권` 47:32
- 해외부동산 투자 내년중 전면 허용 검토 47:32
- 은행권, 지난달 중소기업대출 사상 최대 47:32
- 대한민국지도 바뀐다 47:32
- 행복도시 대역사 시작됐다 47:32
- 원전센터부지선정 민주적 해결 47:32
- 노동부, 중소기업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 촉진 47:32
- 에너지 산업 해외 진출 협의회 공식 출범 47:32
- 권양숙 여사, 방송통신대 학위 수여식 참석 47:32
- 우정사업본부, 6시그마 경영혁신 본격 돌입 47:32
- 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연대 출범 47:32
- 이슈&토크 4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