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강화된 경제체질, 신용평가로 나타나
등록일 : 2006.02.21
미니플레이
우리경제는 대내외적인 악재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장 궤도에 진입했습니다.
그 바탕에는 언론의 따가운 질책에도 불구하고 단기부양책을 쓰지 않고 경제의 체질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던 참여정부의 고집스런 원칙이 있었습니다.

참여정부 출범 첫 해인 지난 2003년 경제성적표는 초라했습니다.

경제성장률은 전년에 비해 반 토막이 났고, 극심한 내수경기 침체에 실업자와 신용불량자도 크게 늘었습니다.

빚으로 소비를 늘리게 했던 국민의 정부의 잘못된 경기부양책이 참여정부의 발목을 잡은 셈이 된 것입니다.

실제 신용불량자문제는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정도로 그 심각성이 컸고, 이때부터 언론들은 경제위기론을 들고 나왔습니다.

해를 넘겨 2004년이 되자 언론들은 단기처방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세웠지만 참여정부는 위기가 아닌 만큼 인위적 경기부양은 하지 않겠다, 지금은 경제의 기초체력을 다져야 할 때라며 단호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때부터 언론들은 IMF보다 더한 위기가 올 것이라며 정부를 압박했습니다.

이처럼 일부언론들이 경제위기론을 끊임없이 제기하는 상황에서도 참여정부는 단기부양책을 쓰지 않았습니다.

단기처방보다는 꾸준한 운동과 근본적 수술을 통한 체질강화에 중점을 둔 것입니다.

참여정부는 정경유착과 관치금융 부패 등 우리 경제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고질적 병폐를 없애는데 치중했고, 기업의 경제활동을 옥죄는 각종 규제도 하나하나 개혁해 나갔습니다.

그 결과 우리 경제는 서서히 좋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유가급등 등 대내외적인 악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4분기 2.7%에서 4/4분기 5.2%로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고 올 1/4분기는 그 이상의 상승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기회복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가계부채문제도 큰 고비를 넘기면서 서민경제를 짓눌렀던 내수경기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제가 살아나고 체질이 강화되면서 대외신인도 역시 좋아졌습니다.

S&P는 지난해 7월 A-에서 A로, 피치는 지난해 10월 A에서 A+로 각각 한 단계씩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지난 4년간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3로 유지해 온 무디스도 상향조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지수 1300P시대를 여는데 일조했던 외국인 투자자들도 여전히 바이코리아를 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극화로 깊게 패인 서민들의 주름살은 좀처럼 펴지지 않고 있습니다.

서민들이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선 10년 20년 후에도 지속 발전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선 이제 참여정부는 남은 2년 동안 양극화해소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고집스럽게 매달려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