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보정책 목표 ‘한반도 평화 제도화’
등록일 : 2006.02.17
미니플레이
2월 17일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열렸습니다.
정부는 올한해 한반도 평화를 제도화하는데 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정부의 올해 안보정책 목표는 한반도 평화의 제도?니다.
정부는 올들어 처음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올한해 안보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제도화 하는데 주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6대과제로는 북핵문제 해결구도 수립과 한반도 평화체제 전기마련 과 한미동맹 조정 협상 마무리 지속적 신뢰구축을 통한 남북관계 질적 도약 그리고 대북 인도주의 현안의 적극적 타개와 국방개혁의 가시적 성과 도출 안보정책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 등 을 선정하였습니다.
참여정부 안보정책 진전 상황에 대한 점검도 있었습니다.
정부는 지난 3년간 자주국방-균형외교-남북 신뢰구축 3대 정책기조에 따라 우리 군의 한국방위에서의 역할을 증대하고, 북핵문제의 주도적 해결 구도 마련한 것은 물론, 남북간 교류협력 심화와 긴장완화 등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회의를 주재한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과 함께하는 안보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민들 사이에 안보정책에 대한 견해와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고 국민의 통합된 의지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17일 회의에서 노대통령은 신임 이종석 통일부 장관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공식 임명하고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을 NSC 상임위에서 긴밀히 협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정부는 올한해 한반도 평화를 제도화하는데 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정부의 올해 안보정책 목표는 한반도 평화의 제도?니다.
정부는 올들어 처음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올한해 안보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제도화 하는데 주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6대과제로는 북핵문제 해결구도 수립과 한반도 평화체제 전기마련 과 한미동맹 조정 협상 마무리 지속적 신뢰구축을 통한 남북관계 질적 도약 그리고 대북 인도주의 현안의 적극적 타개와 국방개혁의 가시적 성과 도출 안보정책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 등 을 선정하였습니다.
참여정부 안보정책 진전 상황에 대한 점검도 있었습니다.
정부는 지난 3년간 자주국방-균형외교-남북 신뢰구축 3대 정책기조에 따라 우리 군의 한국방위에서의 역할을 증대하고, 북핵문제의 주도적 해결 구도 마련한 것은 물론, 남북간 교류협력 심화와 긴장완화 등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회의를 주재한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과 함께하는 안보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민들 사이에 안보정책에 대한 견해와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고 국민의 통합된 의지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17일 회의에서 노대통령은 신임 이종석 통일부 장관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으로 공식 임명하고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을 NSC 상임위에서 긴밀히 협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34회) 클립영상
- 정보통신부, 개인정보 수집시 동의구체화 36:26
- 올해 안보정책 목표 ‘한반도 평화 제도화’ 36:26
- 홍보수석, 정부와 언론 선의 경쟁 36:26
- 외교통상부 재외공관장회의 마지막날(3일 종합) 36:26
- 선진통상국가 추진실적과 계획 36:26
- 선진통상국가 추진실적 2 36:26
- 1월 부도업체수 사상 최저 수준 36:26
- 유시민장관 노인수발보험제도 현장방문 36:26
- 법무부,시각장애인 사법시험 음성컴퓨터 시연 36:26
- 정보통신부,장애인용 통신중계센터 개소식 36:26
- 우리쌀 경쟁력 강화방안 36:26
- 한주간 업무보고 요약 브리핑 3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