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2월 개최 불투명
등록일 : 2006.02.09
미니플레이
북한이 핵무기 보유선언을 한 지 10일로 1년을 맞습니다.
9.19 공동성명 이후 현재 6자 회담은 위폐공방으로 답보상태입니다.
지난 해 2월10일 북한의 핵무기 보유선언으로 북미 대립은 한동안 지속됐으며 6월 워싱턴 한미정상회담과 정동영-김정일 평양면담을 통한 반전, 그리고 7월 제4차 6자회담 개막과 9월 `공동성명` 채택으로 북핵 해결 논의가 탄력을 받는 듯 했으나 그 후 불거진 위폐공방으로 차기 북핵 6자회담은 수개월째 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건은 위폐 문제로, 북한은 이를 6자회담과 연계시켜 위폐문제에 진전이 있어야 회담이 가능하다는 조건을 걸고 있으나 카운터 파트인 미국은 불법 행위인 위폐와 6자회담은 별개라며 6자회담 우선 개최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 행정부는 북한이 마약밀매와 무기거래, 위폐 제조와 유통 방지를 위한 유엔 마약협약, 테러자금조달억제협약, 반부패협약 등의 국제협약에 가입하는 등의 행동을 취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일단 방코 델타 아시아 사건에 대한 미 행정부의 판단이 나와야 차후의 논의가 가능할 것이며 현재로선 물밑협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현재 상황을 전했습니다.
한편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했던 나나 수트레스나 특사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초청했으며, 북측도 이를 환영했다고 밝혔습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의 면담을 위해 외교통상부를 찾은 나나 특사는 이번 방북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이 같은 의견을 주고받았다며, 김 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 일정은 양측이 서로 편한 때에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나나 특사는 방북 기간 동안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나 김 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초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9.19 공동성명 이후 현재 6자 회담은 위폐공방으로 답보상태입니다.
지난 해 2월10일 북한의 핵무기 보유선언으로 북미 대립은 한동안 지속됐으며 6월 워싱턴 한미정상회담과 정동영-김정일 평양면담을 통한 반전, 그리고 7월 제4차 6자회담 개막과 9월 `공동성명` 채택으로 북핵 해결 논의가 탄력을 받는 듯 했으나 그 후 불거진 위폐공방으로 차기 북핵 6자회담은 수개월째 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건은 위폐 문제로, 북한은 이를 6자회담과 연계시켜 위폐문제에 진전이 있어야 회담이 가능하다는 조건을 걸고 있으나 카운터 파트인 미국은 불법 행위인 위폐와 6자회담은 별개라며 6자회담 우선 개최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 행정부는 북한이 마약밀매와 무기거래, 위폐 제조와 유통 방지를 위한 유엔 마약협약, 테러자금조달억제협약, 반부패협약 등의 국제협약에 가입하는 등의 행동을 취할 것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일단 방코 델타 아시아 사건에 대한 미 행정부의 판단이 나와야 차후의 논의가 가능할 것이며 현재로선 물밑협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현재 상황을 전했습니다.
한편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했던 나나 수트레스나 특사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초청했으며, 북측도 이를 환영했다고 밝혔습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의 면담을 위해 외교통상부를 찾은 나나 특사는 이번 방북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이 같은 의견을 주고받았다며, 김 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 일정은 양측이 서로 편한 때에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나나 특사는 방북 기간 동안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나 김 위원장의 인도네시아 방문을 초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