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양정호교수 교육양극화 8.6배
등록일 : 2006.02.02
미니플레이
학원비와 과외비 등 사교육비 지출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9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등 사교육비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에서 2004년 상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83만 8천원인데 비해 최하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9만 8천원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계층별로 사교육비 지출 추이를 살펴보면 하위 20%의 사교육비는 지난 2001년 7만 5천원에서 2004년 9만 8천원으로 2만3천 원 정도 늘어난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상위 20%의 사교육비가 26만 9천원이나 증가한 것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칩니다.
양 교수는 이처럼 낮은 소득 수준이 다시 교육의 불평등을 가져와 빈곤의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양 교수는 사교육비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학부모들이 교육정책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육의 양극화는 사회계층의 양극화를 고착화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담론수준이 아닌 구체적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소득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가 9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등 사교육비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에서 2004년 상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83만 8천원인데 비해 최하위 20% 계층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9만 8천원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계층별로 사교육비 지출 추이를 살펴보면 하위 20%의 사교육비는 지난 2001년 7만 5천원에서 2004년 9만 8천원으로 2만3천 원 정도 늘어난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상위 20%의 사교육비가 26만 9천원이나 증가한 것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칩니다.
양 교수는 이처럼 낮은 소득 수준이 다시 교육의 불평등을 가져와 빈곤의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양 교수는 사교육비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학부모들이 교육정책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육의 양극화는 사회계층의 양극화를 고착화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담론수준이 아닌 구체적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KTV 국정와이드 (23회) 클립영상
- 소수공제자 추가공제 폐지 추진 50:34
- 성균관대 양정호교수 교육양극화 8.6배 50:34
- 이해찬 총리, “장애인 주거 개선방안 검토” 50:34
- 한-미 FTA 체결, 득과 실 50:34
- FTA 협상 잇따라 50:34
- 스크린쿼터 다시 수면 위로 50:34
- 미국은 왜 스크린쿼터축소를 고집하나 50:34
- 생명윤리위, 난자기증수 제한 50:34
- 재정경제부, 세수관련 오해와 진실 50:34
-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복지 실태점검 50:34
- 기획예산처, 올해 BTL사업 8조3천억원 규모 추진 50:34
- 노동부 임금피크제 적극추진 50:34
- 전국 산업단지 미분양률 낮아져 50:34
- 노무현 대통령, 한미동맹·대북정책 노련한 균형 50:34
- 옥외광고 규제합리화 공청회 50:34
- 새봄맞이 나비날리기대회 50:34